[쿠키뉴스=이소연 기자]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선 전 개헌 합의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의원은 16일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해 “‘절대반지’를 낀 다음에는 반지를 안 빼게 된다”며 “대선 전에 무언가 해놓지 않으면 차기 대통령 취임 이후 국회와 끊임없이 대립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개헌이 이뤄져) 오는 2020년 분권형 대통령제가 출범하게 될 경우를 대비해 (대선 주자들이) 최소한 임기 단축을 공언, 문서화할 필요가 있다”면서 “임기 단축이 아니더라도 ‘남은 2년의 임기를 분권형 대통령을 하겠다’고 선언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선 주자들이) 신체제에 맞추겠다는 믿을 만한 합의가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현행 대통령제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이 의원은 “(여당 국회의원들은) 대통령의 의사를 거역하기 어렵다”면서 “야당과 여당이 (대통령의) 임기 초부터 이런 문제로 충돌을 빚는 것은 굉장한 적폐”라고 지적했다. 그는 “대통령제 국가 중에서 제대로 되고 있는 나라가 하나도 없다는 것은 이미 입증된 사실”이라면서 “대통령제는 선거로 절대 군주를 뽑는 제도”라고 전했다.
앞서 15일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은 오는 5월9일 19대 대선 때 ‘4년 중임 분권형 대통령제’ 도입을 골자로 한 개헌 국민투표를 함께 실시하기로 합의했다. 더불어민주당 ‘개헌파’ 의원 30여명도 동참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정치권 일각의 개헌 논의는 국민 주권을 부정하는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