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이소연 기자] ‘5·18 광주 민주화운동’의 사적지인 옛 전남도청이 원형 복원 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다.
문 대통령은 18일 오전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7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해 “새 정부는 5·18 민주화운동의 진상을 규명하는 데 더욱 큰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전남도청 복원 문제는 광주광역시와 협의하고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광주 지역 시민·사회단체들 옛 전남도청 복원을 위해 목소리를 높여왔다. 5·18 최후 항쟁지, 옛 전남도청 원형복원을 위한 광주전남시도민대책위원회(시도민대책위)와 제37주년 5·18 민중항쟁 기념행사위원회(5·18 행사위)는 지난 16일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옛 전남도청은 5·18의 기억과 흔적을 고스란히 안고 있는 곳”이라며 “옛 전남도청을 복원하는 것으로 5·18의 역사적 정립은 새롭게 시작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옛 전남도청은 지난 1980년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에 맞선 시민군의 마지막 항전지였다. 비무장 시민들에 대한 계엄군의 집단발포가 이뤄진 장소이기도 하다. 도청 본관과 별관은 모두 ‘5·18 사적지’로 등록돼 있다. 본관은 지난 2002년 대한민국 근대문화유산 등록문화재로 지정됐다.
그러나 정부는 지난 2008년 옛 전남도청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민주평화교류원으로 활용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도청의 본관과 별관, 회의실, 상무관, 민원실 등이 리모델링됐다. 광주시민들에게 5·18 당시 상황을 알리는 역할을 했던 방송실은 완전히 철거됐다. 리모델링을 거치며 계엄군이 발포한 총탄 자국이 사라졌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아시아문화전당 측은 해당 부지에 5·18 민주평화기념관을 조성하겠다고 했으나, 5월 단체 등은 원형 복원을 요구하며 팽팽히 맞서고 있다. 시도민대책위는 지난해 9월7일부터 옛 전남도청의 원형보존을 요구하며 천막농성을 진행 중이다.
문 대통령의 이번 5·18 기념사를 기점으로 옛 전남도청 복원과 관련한 갈등은 잦아들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18일 대선 유세 과정에서 광주를 찾아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 ‘옛 전남도청 복원’ 등을 이야기했다. 그는 지난해 9월 시도민대책위의 천막농성 현장을 찾아 도청 원형 복원 등의 요구를 경청했다.
5·18 행사위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기념사에서 옛 전남도청에 대해 언급한 것을 긍정적으로 본다”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다만 “원형 복원을 약속하는 확실한 입장 표명이 나오지 않아 아쉽다”고 덧붙였다.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