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협정 탈퇴 가능성 커진 미국…4대강 녹조·물고기 집단폐사 늘까

파리 협정 탈퇴 가능성 커진 미국…4대강 녹조·물고기 집단폐사 늘까

기사승인 2017-05-29 13:18:38 업데이트 2017-05-29 13:32:56

[쿠키뉴스=이소연 기자] 미국이 ‘파리기후협정(파리협정)’에서 탈퇴할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우리나라 자연환경에도 부정적인 ‘나비효과’가 초래될 수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28일 미국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 등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측근들에게 파리협정 탈퇴 계획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파리협정은 지난 2015년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서 195개국이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을 낮추기 위해 오는 2020년 이후 온실가스 배출을 제한하기로 합의한 협정이다. 당시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이끌었던 미국은 협약 체결을 주도했던 국가 중 하나였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의 기조는 달랐다. 지난 27일 이탈리아 시칠리아 타오르미나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해 파리협정 참여를 약속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최종 성명에는 “미국을 제외한 6개국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파리협정 이행에 최선을 다하는 한편 미국의 (파리협정) 검토 절차를 이해한다”는 문구가 게재됐다. 같은 날 트럼프 대통령은 SNS에 “G7 회의에서가 아니라) 다음 주에 파리협정 잔류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는 글을 올렸다. 

미국은 세계 2위의 온실가스 배출국이다. 미국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전 세계 탄소배출량의 약 15%를 차지한다. 미국이 파리협정을 탈퇴하면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우리나라 자연환경에 미칠 부정적 영향은 적지 않다. 녹조 등이 더욱 증가해 생태계 환경을 뒤흔들 가능성이 있다. 녹조는 유속이 느린 물과 21도 이상의 수온, 풍부한 영양 염료 등의 조건이 충족될 때 발생한다. 현재 4대 강 사업으로 보가 생기며, 강의 유속은 과거에 비해 현저히 느려졌다. 매년 녹조가 찾아오는 시기가 빨라지고 기간도 길어지는 추세다. 대구환경청에 따르면 지난 5월 둘째 주 대구·경북권 낙동강 주요 6개 보의 수온과 강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도 상승했다.           

물고기 집단폐사의 가능성도 있다. 경남 환경단체 낙동강경남네트워크는 28일 “떼죽음 당한 동자개 40㎏을 낙동강 박진교 하류에서 건졌다”고 밝혔다. 수온 상승 등으로 인해 물속 용존산소가 고갈돼 폐사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동해 연안의 표면수온은 2015년 대비 5~6도 상승했다. 남해는 1~3도, 서해는 0.5~2.5도 상승해 양식장 어류 폐사가 빈번하게 일어났다. 

전문가들은 지구온난화 가속화로 인한 환경 변화에 우려를 표했다. 김해동 계명대학교 지구환경학과 교수는 “지구가 뜨거워짐에 따라 수질 환경에 미칠 악영향은 분명히 있다”며 “녹조가 증가, 수중 산소 고갈로 물고기가 폐사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온에 따라 물고기의 종류가 달라진다”면서 “과거 낙동강 상류와 하류의 수온 차는 11도에 달했으나 현재는 3도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생태종의 다양성이 파괴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황순진 건국대학교 보건환경과학과 교수는 “대기 온도가 상승하면 수온 역시 영향을 받게 된다”며 “(미국의 파리협정 탈퇴가) 당장의 급격한 변화로 발생하지는 않더라도 장기적으로 미칠 영향이 크다. 향후 가뭄이 온다거나 홍수 등이 발생해 수질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황 교수는 “우리나라는 미국의 파리협약 탈퇴와는 별개로 급격한 기후 변화를 막기 위해 기존의 온실가스 감축 계획 등을 지켜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