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5 선언 기념행사, 9년째 남북 공동개최 불발…반쪽행사 언제까지?

6·15 선언 기념행사, 9년째 남북 공동개최 불발…반쪽행사 언제까지?

기사승인 2017-06-15 11:29:41 업데이트 2017-06-15 11:29:50

[쿠키뉴스=이소연 기자] ‘6·15 선언’ 기념행사의 남·북한 공동개최가 9년째 불발됐다. 남북 간 자주·평화 통일 원칙 등의 합의를 기념하는 행사가 ‘반쪽’이 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6·15 공동선언 실천 남측위원회(남측위)는 15일 오전 10시 서울 종로구 프레스센터에서 ‘6·15 공동선언 발표 17주년 기념식’을 열었다. 같은 날 오후 6시30분에는 서울 세종문화회관 중앙계단 앞에서 ‘6·15 공동선언 발표 17돌 서울기념대회’가 진행된다. 

그러나 북측 인사가 참여하거나, 북한과 공동으로 개최하는 행사는 열리지 않았다. 남측위는 지난 9일 “6·15 공동선언 민족공동행사의 평양 개최가 어렵게 됐다”며 “현재의 여러 물리적, 정치적 상황을 감안해 행사를 각기 분산해서 개최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남측위는 “정부가 6.15 공동행사 보장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밝히지 않아 유감스럽고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6·15 선언은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과 고(故) 김정일 전 북한 국방위원장이 정상회담을 갖은 후, 합의해 발표한 내용을 말한다. 지난 2000년 6월15일 고 김 전 대통령과 고 김 전 위원장은 통일 문제의 자주적 해결과 이산가족 문제의 조속한 해결, 남북 간 경제 협력 등에 합의했다. 이후 남북은 각각 공동선언 실천위원회를 꾸려 선언문 이행을 위해 노력해왔다. 서울과 평양 등에서 공동 기념행사도 개최됐다. 그러나 지난 2008년 이후 남북관계가 경색돼 공동 기념행사는 전면 중단됐다. 

정권이 바뀌었으나 반쪽행사는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남측위는 향후 예정된 8.15행사와  10.4선언 발표 기념행사 등을 남북 공동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발표했으나 실현은 요원하다. 북한의 대외용 인터넷매체인 ‘우리민족끼리’는 지난 7일 대화의 조건으로 즉각적인 5.24 조치 철회,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가동 재개 등을 요구했다. 

그러나 국제사회의 기조가 ‘대북제재’로 흘러가는 상황에서 이를 이행하기는 어렵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지난 3일 북한의 미사일 도발을 규탄하며 추가 제재 결의안을 채택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북한의 도발 등에 타협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밝혔다.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