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HO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고 개최되고 있는 ‘제9차 국제에이즈학회 콘퍼런스(9th IAS Conference on HIV Science)’에 맞춰 ‘HIV 약물 내성 보고서’를 지난 2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에는 아프리카와 아시아, 남아메리카 등 11 나라에서 HIV 약물 내성 관련 조사 결과가 담겼다. 보고에서 따르면 6개 국가에서 HIV 감염 환자들의 10% 이상이 치료제에 내성이 있는 변종 (HIV) 바이러스를 뷰오한 것으로 확인됐다.
따라서 WHO는 내성 바이러스 보유 HIV 감염자 비율이 10%를 넘는다면 기존 치료 방식에 위협이 될 수 있는 만큼 해당 국가들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에 대해 테드로스 WHO 사무총장은 “(HIV) 약제 내성은 전 세계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위협 요소가 되고 있다. 오는 2030년까지 ‘에이즈 퇴치’라는 전 세계적 목표 달성을 위해 HIV 약제 내성 상승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테드로스 총장은 HIV 약제 내성이 증가하는 이유 중 하나로 HIV 감염인이 꾸준한 치료를 받지 않는 상황이라는 점도 지적했다.
WHO에 따르면 작년 기준 HIV 감염인 3670만명 중 1950만명이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대다수는 HIV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것에 있어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됐다고 WHO는 설명했다.
하지만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HIV 약제 내성을 경허하고 있는 만큼 각 국가들은 새로운 지침을 발표하고 있으며, 치료 실패가 감지되면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게 될 것이라고 WHO는 밝혔다.
songb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