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이소연 기자] 한·미 정상이 북한의 미사일·핵 도발과 관련, 강력한 압박과 제재를 가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문재인 대통령은 7일 오전 7시58분부터 오전 8시54분까지 56분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가졌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한반도에서 두 번 다시 전쟁의 참상이 일어나는 것을 용인할 수 없다”며 “북한 핵 문제는 한·미 간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평화적·외교적 방식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북한에 강한 제재가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됐다. 문 대통령은 “한·미 양국이 힘의 우위에 기반한 강력한 압박·제재를 통해 궁극적으로 북한을 핵 폐기를 위한 협상의 장으로 끌어내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면서 “북한이 핵을 포기하는 올바른 선택을 할 때 대화의 문이 열려 있음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중국·러시아를 포함한 이사국들의 만장일치로 유례없이 강력하고 포괄적인 대북제재 결의안을 채택하는 매우 중요한 상황 변화가 있었다”면서 “북한의 태도 변화를 끌어내기 위해 강력한 압박과 제재를 가하는 등 확고한 입장을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북한의 도발에 대비하기 위해 한·미간 군사적 협력도 언급됐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의 평화를 지키기 위해서는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강화하는 조치와 함께 우리의 방위력을 향상하기 위한 조처를 해 나갈 필요가 있다”며 “한·미 정상회담 시 협의한 미사일지침 개정 협상이 원만하게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을 해달라”고 미국 측에 당부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적극 협력하겠다”고 답했다.
박 대변인은 “양국 정상은 이달 말 예정된 한·미 연합훈련을 전후해 북한의 도발 가능성이 고조될 수 있다. 굳건한 연합방위태세를 기반으로 북한의 추가 도발을 억지·대응하기 위한 공조를 지속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현재 북한과 대화를 나눌 적절한 시기가 아니라는 지적도 있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핵을 포기하거나 폐기할 때까지 제재와 압박을 해야 한다”며 “내가 제안한 대화의 본질은 남·북 적십자 회담을 통한 이산가족 상봉이라는 인도적 조치와 핫라인 복원이다. 군사당국자 간 회담을 통해서는 우발적 충돌방지와 긴장 완화를 꾀하고자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지난달 17일 대한적십자사와 국방부를 통해 북한에 각각 당국 회담을 제의했다.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