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이소연 기자]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과 관련된 문건이 청와대 제2부속실 공유 폴더에서 발견됐다. 제2부속실은 ‘문고리 3인방’ 중 한 명으로 불렸던 안봉근 전 청와대 비서관과 국정농단 방조 의혹을 받는 이영선·윤전추 전 청와대 행정관이 근무했던 곳이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28일 브리핑을 통해 “지난 10일 청와대 제2부속실에서 사용되던 공유 폴더에서 지난 2013년부터 2015년 1월까지 문서 파일을 발견했다”며 “내용별로 국무회의 292건,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회의 221건, 비서실장 주재 수석비서관회의 202건, 기타 회의자료 및 문서 파일 등 모두 9308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어 “일부 문서 파일에는 ‘문화계 블랙리스트’ 등 국정농단 관련 내용도 포함됐다”고 말했다. 해당 문건은 앞서 7월 청와대 정무수석실에서 발견된 종이문건과는 작성 시기가 다른 문건으로 알려졌다. 앞서 발견된 종이문건은 지난 2015년 3월부터 11월 사이 작성됐다.
박 대변인은 문건 발견 경위에 대해 “비서실별·태스크포스(TF)별·개인별 공유 폴더에 전 정부 생산 파일이 존재한다는 것은 새 청와대 출범 초부터 인지했다. 다만 문제의 파일이 발견되지 전까지는 대통령 기록물과 무관한 것으로 알고 주목하지 않았다”면서 “10일 제2부속실 직원이 스캐너 연결을 위한 PC설정 작업 도중 공유 폴더를 발견했다. 해당 폴더 안에 문제의 문서 파일이 들어있었다”고 설명했다.
박 대변인은 “이번에 발견된 문서 파일은 총량 자체가 워낙 많아 대통령기록물에 해당하는지 검토하는 데만 상당한 시일이 걸렸다”면서 “대통령기록관 직원이 청와대를 방문해 공유 폴더 문서 파일이 대통령기록물에 해당하는지 검토, 이관 등의 절차를 거칠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향후 국정농단 재판이나 수사에 문건이 활용될 가능성도 언급됐다. 박 대변인은 “현재 수사나 재판이 진행 중인 사안과 관련된 파일은 관련 기관의 요구가 있으면 제출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청와대는 지난달 14일 “민정비서관실의 캐비닛을 정리하던 중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자료 300건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문건에는 삼성그룹의 경영 승계 지원 방안을 검토한 내역과 문화계 블랙리스트, 고(故) 김영한 전 민정수석의 자필 메모 등이 포함됐다. 이후 청와대는 전수조사를 통해 ‘보수논객 육성 활성화’, ‘보수단체 재정 지원’ 등의 내용이 담긴 박근혜 정부의 문건 등을 추가로 발견했다.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