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이소연 기자] 이명박 정부의 ‘국정원·군 댓글 공작’ 파문이 불거진 가운데, 박근혜 정부에서도 ‘군 댓글 공작’을 펼쳤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재석 KBS 기자는 4일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박근혜 정부 때도 군의 댓글 공작이 있었다는 사실을 추정할 수 있는 사례가 있다”며 “당시 사이버사령부에서 이른바 ‘김병관 보위 작전’이라고 부르는 댓글 공작이 있었다”고 밝혔다. 김병관 전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은 지난 2013년 박근혜 정부의 초대 국방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됐던 인물이다. 그러나 부동산 투기, 방산비리 연루 의혹 등으로 낙마했다.
이 기자는 이날 “새 장관이 온다고 하니까 댓글부대에서 가만히 있지 않았다”면서 김기현 전 군 사이버사령부 530심리전단 총괄계획과장(부단장)의 녹취록을 공개했다. 공개된 녹취에 따르면 김 전 과장은 “‘김병관은 장관으로서 아주 우수한 전략가다’ ‘(김 전 사령관이 연루된) 방산비리는 친북세력들이 주장하는 것’ 등으로 홍보하라는 지침이 떨어졌다”고 말했다.
해당 댓글 공작이 후보자 신분이던 김 전 사령관에게 직접 보고됐다는 언급도 나왔다. 이 기자는 “(사이버사령부) 대원들이 밤사이 홍보 댓글을 달면 이를 상부에 보고한다”면서 “당시 사이버사령부 사령관과 530심리전단 단장이 매일 아침 8시에 청문회를 준비 중이던 김 전 사령관에게 보고를 했다는 증언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김 전 과장의 증언이 보도되는 것을 KBS 윗선에서 막았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이 기자는 “(당시 KBS 상부에서) ‘증언의 개연성이 있어 보인다’고 했으나 ‘뒷받침할 증거가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니냐’고 지적했다”면서 “정보 당국의 고발자라는 특수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이어 “(상부에서) ‘자유한국당을 비롯한 보수진영에서 해당 보도에 반발하면 KBS가 후폭풍에 시달릴 수 있다’고 이야기했다”고 전했다.
이 기자는 “지난 9년간 이러한 사례가 무수히 많았다”면서 “최근 사례로는 ‘최순실게이트’가 터졌을 당시 TF팀을 구성하려 했으나 당시 보도국장이 ‘최순실이 박근혜 측근이라는 걸 장담할 수 있는 증거를 갖고 오라’며 이를 막았다”고 이야기했다.
그는 이날부터 시행된 KBS·MBC의 총파업에 대해 “내부 구성원들이 현재 압도적으로 무엇을 주장하고 있는지를 봐야 한다”면서 “(보도를 막고 언론을 장악한) 그들이 나갈 때까지 파업을 지속할 것이다. 이번이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