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순방 나선 文 대통령…‘북핵 공조’ 청신호 켜질까

러시아 순방 나선 文 대통령…‘북핵 공조’ 청신호 켜질까

기사승인 2017-09-06 10:49:28

[쿠키뉴스=이소연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러시아 순방에 나섰다. 

문 대통령은 6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단독 정상회담을 갖는다. 북한의 제6차 핵실험 등 도발과 관련, 대북 제재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이 이날 회담에서 푸틴 대통령을 설득, 북핵 관련 공조를 이뤄내는 것이 관건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온전한 대북제재를 위해서는 러시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러시아는 북한에 연간 20~30만t의 원유를 공급하고 있다. 북한이 노동자를 파견, 외화벌이를 하는 주요 국가이기도 하다. 러시아가 원유 공급과 북한의 해외 자금줄을 차단해야 강력한 대북제재가 이뤄질 수 있다. 

그러나 러시아를 대북 제재에 동참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러시아는 북한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추가 제재에 반대하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5일 중국 샤먼(廈門)에서 열리고 있는 브릭스(BRICS) 정상회의에서 “현 상황에서 북한에 대한 그 어떤 제재도 소용이 없다”며 “북한은 자신들이 안전하다고 느끼지 못하면 풀을 뜯어 먹으면서도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현재 러시아와 북한의 교역은 사실상 제로 상태”라며 “러시아에서 일하고 있는 북한 노동자도 3만명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북한에 대한 석유 공급과 북한 노동자 고용 등을 제재하는 것이 의미가 없다는 주장이다.  

러시아와 미국의 관계 악화도 대북제재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미국은 지난달 러시아와 이란, 북한을 제재하는 패키지 법안을 통과시켰다. 러시아는 미국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 이에 따라 러시아가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대북압박 기조에 동참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앞서 세르게이 랴브코프 러시아 외무차관은 미국을 향해 “북한에 대한 도발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