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정당들이 지도부의 비위 의혹에 곤혹을 느끼고 있다.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의 측근 2명이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등으로 검찰에 소환됐다고 14일 SBS가 보도했다. 측근 2명은 지난 2012년 총선에서 우 원내대표 지역구에 출마한 다른 후보에게 단일화를 대가로 금품을 건넨 혐의를 받는다. 우 원내대표는 금품거래 의혹에 대해 전혀 아는 바가 없다고 부인했다. 그러나 우 원내대표 측근이 금품을 건넨 혐의를 일부 시인한 것으로 알려져 파장이 예상된다.
자유한국당(한국당)은 ‘BBK 주가조작사건’(BBK 사건)에 대한 의혹들이 새롭게 제기되며 부담을 느끼는 상황이다. 홍준표 한국당 대표가 BBK 사건 은폐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기 때문이다. 같은 날 박영선 민주당 의원은 국회에서 열린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박상기 법무부 장관에게 BBK 사건에 대한 재수사를 요청했다. 여당과 이낙연 국무총리 등도 BBK 사건 관련 재조사 의지를 피력 중이다.
지난 2007년 12월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당시 한나라당(한국당의 전신) 클린정치위원장이었던 홍 대표는 노무현 정부와 여당이 ‘김경준 기획입국’에 관여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BBK 사건의 주범으로 지목됐던 김경준씨가 지인으로부터 받았다는 편지 내용을 근거로 들었다. 홍 대표가 공개한 편지에는 “자네가 ‘큰집’하고 어떤 약속을 했던 우리만 이용당하는 것”이라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홍 대표 등 한나라당은 “큰집은 정치권 배후를 일컫는 것”이라고 일갈했다. 노무현 정부가 당시 대선후보였던 이명박 전 대통령을 공격하고자 김씨를 입국시켰다는 취지였다. BBK 사건 연루 의혹으로 난관에 봉착했던 이 전 대통령은 해당 편지로 대선에서 승기를 굳혔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편지는 이후 조작된 것으로 밝혀졌다. 홍 대표는 “편지를 단순히 전달받았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이에 시민단체들은 지난 7월11일 BBK사건 범죄은폐 등의 혐의로 홍 대표를 검차에 고발했다.
바른정당은 지도부의 비위 의혹으로 이미 한 차례 홍역을 앓았다. 이혜훈 전 바른정당 대표는 지난 7일 금품수수 의혹이 제기된 것에 대한 책임을 지고 당 대표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 전 대표가 사업가 옥모씨로부터 6000만원대 금품을 수수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지 일주일만의 일이었다. 이 전 대표 낙마 후, 누가 당을 이끌 것인지에 대한 갈등이 일부 표출되기도 했다.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추대하는 안건은 일부 의원들의 반발로 무산됐다.
일각에서는 각 당 지도부의 리더십이 흔들리는 것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지도부 부재 상황에서는 당의 방향이 확실히 정해지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지도부의 위치가 불안정하면 당 대 당의 협의 역시 쉽게 타결을 보기 어렵다. 정부와의 갈등이 예상되는 예산안 처리 역시 마찬가지다. 더 나아가 정기국회 대응 방안은 물론 오는 2018년 지방선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