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봉근 전 청와대 국정홍보비서관과 이재만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이 국가정보원(국정원)에서 돈을 상납 받은 혐의로 긴급 체포됐다. 두 전 비서관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아직 규명되지 못한 ‘세월호 7시간’과 ‘최순실 국정농단’ 관련 열쇠를 쥔 인물들이다.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부장검사 양석조)는 31일 “두 전직 비서관에 대한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체포했다”고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안 전 비서관과 이 전 비서관 등 박근혜 정부의 청와대 인사들이 국정원 특수활동비를 상납받은 정황을 포착했다. 두 전 비서관의 자택 등도 압수수색 대상이 됐다.
안 전 비서관과 이 전 비서관, 현재 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받고 있는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은 박 전 대통령의 최측근인 ‘문고리 3인방’으로 불렸다. 이들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깊게 관여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다만 이 중 정 전 비서관만 최순실씨에게 청와대 기밀문건을 유출한 혐의로 구속기소 됐다. 안 전 비서관과 이 전 비서관은 박영수 특별검사(특검), 검찰에 각각 한두 차례 출석해 참고인 조사를 받는 것에 그쳤다. 이들은 국정농단 사건이 불거진 후 일체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탄핵심판과 국회 ‘최순실 국정농단’ 청문회의 증인 출석 요구에도 불응했다.
일각에서는 안 전 비서관을 통해 세월호 최초 보고 시점 조작 의혹이 풀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안 전 비서관은 세월호 참사 당일 오전 박 전 대통령을 대면한 유일한 인물로 지목된 바 있다.
윤전추 청와대 행정관은 지난 1월5일 서울 종로구 헌재 1층 대심판정에서 열린 탄핵심판 2차 변론에 참석해 “세월호 참사 당일 오전, 안 전 비서관이 급한 전화 업무 때문에 박근혜 대통령이 머무르던 집무실을 찾았다”면서 “집무실로 가려면 제 사무공간을 지나야 해서 기억한다”고 밝혔다. 이어 “제가 기억하기로 이날 오전 박 대통령과 대면보고를 한 사람은 안 전 비서관이 유일하다”고 설명했다.
박근혜 정부 청와대에서는 세월호 사건을 보고 받은 최초 시점을 당일 오전 10시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최초 보고 시점이 오전 10시가 아닌 오전 9시30분이라는 문건들이 속속 발견되고 있다.
30일 박남춘 더불어민주당(민주당) 의원이 해양경찰(해경)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경은 지난 2014년 4월16일 오전 9시30분 세월호 사고 관련 최초 상황 보고서를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NSC)와 사회안전비서관실에 전달했다. 같은 당 진선미 의원도 지난 2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작성한 상황보고를 공개하며 박 전 대통령이 오전 10시 전에 상황을 보고 받았다고 말했다. 진 의원이 공개한 문서는 중대본이 작성한 ‘2014.4.16. 10:00 진도해상여객선 침몰사고 상황보고’로 ‘대통령님 지시 : 단 1명의 인명피해도 없도록 구조에 최선을 다할 것, 객실 엔진실 등 철저히 수색해 누락되는 인원이 없도록 할 것’이라는 내용이 기재돼있다.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또한 지난 12일 박근혜 정부에서 세월호 최초 상황보고 시간을 오전 9시30분에서 오전 10시로 조작한 정황을 포착했다고 발표했다.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