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메소드’(감독 방은진)는 두 배우의 메소드 연기를 그려냈다. 퀴어 2인극 ‘언체인’의 주연을 맡은 재하(박성웅)는 자신과 함께 주연으로 낙점된 인기 아이돌 그룹의 멤버 영우(오승훈)가 못마땅하다. 사고를 치고 연극으로 복귀 무대를 택한 영우는 시종일관 부루퉁하고 삐딱하기 때문이다. 대본 리딩 때마다 퉁퉁 부은 얼굴로 들어와 마지못한 듯 연기를 하는 영우를 보고 화가 난 재하는 영우를 붙들고 습격 같은 연기를 펼친다. 재하의 실감나는 연기를 보고 놀란 나머지 눈물까지 흘린 영우는 그 이후 재하를 보는 눈이 달라진다.
영우는 재하의 오래된 연인 희원(윤승아)을 보며 미묘한 감정을 느낀다. 한편 재하는 귀엽게만 봤던 영우가 점점 연기가 늘어가는 것을 보며 뭔지 모를 기분이 된다. 분명 사랑하는 연인이 있는데, 점점 영우를 보는 시선이 달라진다. 연극 연습에 몰입하며 주고받는 연기가 진짜인지, 연기일 뿐인지 두 사람 모두 혼란에 빠진다.
제22회 부산국제영화제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부문에 초청받아 화제가 된 ‘메소드’는 방은진 감독의 야심작이다. 감독이자 배우이기도 한 방은진 감독이 메소드 연기에 관해 꼭 해 보고 싶었던 이야기라고 작품에 앞서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1시간 22분이라는 짧은 러닝타임 때문일까. 급한 감정선과 무너진 개연성은 방은진 감독의 연출 실력에 대한 의구심마저 들게 한다.
재하의 연기에 감명 받은 영우는 눈물까지 흘리고, 이후 재하를 따르게 되지만 그 과정은 마치 배우들의 감정을 관객에게 강요하는 것처럼 보인다. 너무 짧기 때문이다. 묵직하고 웅장한 음악 또한 마찬가지다. 배우들이 표현해내는 감정을 이해하기에 앞서 음악에 끌려가기 십상이다.
두 사람의 사랑에 관해 관계자들이 보이는 반응 또한 의아하다. 비극적 사랑에 빠진 두 사람의 세계가 공고해지는 것은 멜로에서는 필요한 장치겠지만, 장치가 상식을 벗어나면 관객은 스크린과 분리되기 마련이다. 연극을 매체로 한 덕분에 배우들의 감정 과잉이 극적으로 느껴지는 것은 천만다행이다. 주연 배우인 오승훈은 '메소드'가 해낸 새로운 발견이다. 2일 개봉. 15세가.
이은지 기자 onbge@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