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 방사능 재난 사태, 어떻게 대응할까

핵 방사능 재난 사태, 어떻게 대응할까

기사승인 2017-11-11 13:58:09 업데이트 2017-11-12 09:36:12

핵 방사능 재난 대비 체계 현황을 주제로 핵폭발이나 핵무기 공격과 같은 대규모 방사능 재난에 대비한 국가 비상 의료 대응 체계와 치료법 연구개발 현황을 점검하고 앞으로의 과제와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2017이슈토론회-원자력과 국민건강 포럼이 지난 10일 열렸다.  

과학기자협회가 주최한 이번 포럼에서는 한국원자력의학원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 조민수 비상진료팀장이 국가방사선진료체계 현황 및 핵 공격에 대한 의료 대응 고려 사항, 대한재난의학회장과 한국방재학회, 한국방재안전학회, 한국재난정보학회, 국가위기관리학회 등 국내 재난의료 분야의 권위자인 왕순주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응급의료센터 소장이 비발전 분야 및 핵폭발 대비 종합적 비상 의료 대응, 박선후 한국원자력의학원 비폭치료연구부장이 방사선 피폭 치료 연구 현황을 제목으로 각각 발표했다

이어 원전이나 생활 속 방사능 사고 뿐 아니라 핵 폭탄 공격에 대해서도 대비할 수 있는 국가 방사능 비상 진료 시스템 구축 필요성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어졌다.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조민수 팀장은 국가 방사능 방재체계 및 비상진료기관 지정 현황, 비상의료지원본부 구성, 사고 현장으로부터 어떤 비상진료단계를 거치는지, 비상진료요원의 구성과 교육훈련 과정, 백색, 청색, 적색으로 진행되는 방사능 사고 규모에 따른 대응 전략 적용 등 국가방사선비상진료체계가 어떻게 운영되는지 소개했다

조 팀장은 도시 인구 밀집 지역에 대한 핵공격은 원자력 시설의 방사능 사고의 의료 대응 방식으로는 대처할 수 없다고 전제하면서 사상자가 대량 발생하기 때문에 외상 및 방사선학적 중중도 분류 체계를 적용해야 하고 더 나아가 화생방 복합 상황에 대해서도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히로미사와 나가사키의 원폭의 피해 상황을 분석한 후 그 피해 정도에 따라 구역(ZONE)을 나눠 체계적인 대응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왕순주 교수는 방사능 사고, 핵 테러, 핵폭발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는 한반도의 상황을 현재의 방사능 비상 의료 대응 시스템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사일, 폭탄 투하뿐 아니라 더티밤(Dirty Bomb)이라고 불리는 방사능물질 살포 장치(RDD: radioactive dispersal device)등의 핵공격은 대혼란을 야기하고 병원을 포함한 사회 기반시설마저 파괴, 마비시킬 수도 있다국내외적인 여러 가지 위험 요소들을 가정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적용된 지침 개발, 기반시설/장비, 인력 확보 및 교육훈련 등 방사능 비상 의료대응체계의 재정립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강조했다.  

박선후 박사는 실제로 피폭된 환자들의 사례를 들어 어떤 증상들이 나타나며 검사와 진단의 진행 방법, 처지, 수술, 절단 등 어떻게 치료가 이루어지는지 발표했다. 박 박사는 원전, 의료, 산업, 국방 등 방사능 사용 분야도 많아지고 핵테러 위험도 증가하는 등 방사선 피폭에 대한 국민 우려가 커지고 있고 피폭 환자들은 오랜 잠복기를 가진 후 증상이 발현되는 등 예측하거나 특정하기가 매우 어렵다기존 의료 시스템을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비상시를 대비해 피폭 환자 치료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과학기자협회 김진두 회장은 이번 포럼은 최근 북한 핵 실험, 일본 원자력 발전소 사고 등으로 인해 방사능 피폭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와 공포가 커진 상황에서 의학전문기자들이 참여해 국가 방사능 방재시스템의 구축 현황을 점검하고 그 문제점과 개선 방향 등을 논의해 봄으로써, 사회적 집단 패닉을 불러올 수 있는 방사능 재난에 대한 언론 역할의 짚어보기 위한 것이다라고 밝혔다.

전미옥 기자 romeok@kukinews.com

전미옥 기자
romeok@kukinews.com
전미옥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