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에서 역대 두 번째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 가운데, 탈원전 정책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16일 오전 상무위원회의에서 “탈원전을 비롯해서 노후 원전의 조속한 폐쇄 및 원전 안전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며 “피해상황과 대책을 면밀히 살피겠다. 특히 이번 진앙에서 불과 45km 떨어진 월성원전을 방문해 안전을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날인 15일 오후 2시29분 포항시 북구 북쪽 9㎞ 지역에서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했다. 지난해 9월 경주 지진에 이어 포항에서도 강진이 이어지며 원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탈핵에너지전환 국회의원모임’은 이날 긴급 성명을 내고 “문재인정부의 탈원전 정책은 더 빠르고 더 강력히 추진돼야 한다”며 “신규원전 건설 중단과 노후 원전 수명 연장 금지의 공약은 확고히 지켜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대한민국에서 지진은 더더욱 위험하다. 지진은 원전이라는 폭탄의 뇌관을 때리기 때문”이라며 “포항지진 진원지에서 불과 40㎞ 거리에 있는 월성지역에는 총 6기의 원전이 밀집해 있다. 이를 비롯해 전국 24기의 원전이 모두 흔들렸다”고 밝혔다. 이어 “대한민국의 원전들은 하필이면 정확하게 활성단층대 위에 건설됐다”며 “작년 경주지진과 오늘 포항지진은 한반도 남동부를 세로로 가로지르는 양산단층과 이와 이어진 8개의 대규모 활성단층이 이루는 양산단층대를 진앙으로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치권뿐 아니라 시민단체에서도 탈원전에 대한 목소리가 높았다. 환경운동연합은 같은 날 성명을 통해 “동남부 일대에 운영·건설 중인 원전을 축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한국수력원자력은 “(이번 지진이) 원자력발전소 운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달 탈원전 로드맵을 확정했다. 신고리 5·6호기의 공사를 재개하되 현재 계획된 신규 원전 건설계획은 백지화했다. 노후 원전의 수명연장은 금지시켰다. 현재 22기인 국내 원전은 오는 2022년 28기, 2031년 18기, 2038년 14기로 줄어들 예정이다.
원전 대다수는 양산단층대 위치해 있다. 양산단층은 경북 경주에서 부산까지 이어진 170㎞의 긴 단층을 말한다. 이 단층대 위에는 월성·신월성 6기, 한울 6기, 고리·신고리 6기 등 18기의 원전이 운영 중이다. 또한 5기의 새로운 원전이 건설 중이다.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