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국가정보원(국정원) 특수활동비를 포함 100억원대 뇌물 수수 의혹을 받는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을 통보했다.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은 6일 이 전 대통령에게 오는 14일 오전 9시30분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해 조사를 받으라고 통보했다고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실체적 진실을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밝히기 위해 이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여러 차례 소환 조사하는 것은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검찰은 뇌물수수와 직권남용 등의 혐의와 관련해 이 전 대통령 일가 및 측근 등을 조사해 왔다. 증언과 압수수색 등을 통해 이 전 대통령이 일부 관여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전 대통령은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 등이 국정원에서 17억5000만원의 특수활동비를 상납받는 데 관여한 혐의를 받는다. 김주성 전 국정원 기조실장은 지난 2008년 김 전 기획관에게 자금을 상납한 이후 이 전 대통령을 독대했다는 진술을 내놨다.
이 전 대통령은 자동차부품업체 다스 관련 직권남용 및 뇌물 혐의도 받고 있다. 그는 다스가 BBK투자자문으로부터 투자금 140억원을 반환받는 과정에 국가기관을 개입하게 한 혐의(직권남용)와 삼성이 다스의 소송비 60여억원을 대납하는 데 관여한 혐의(특가법상 뇌물)를 받는다. 검찰은 앞서 ‘MB 재산관리인’으로 불린 이병모 청계재단 사무국장을 기소하며 이 전 대통령의 다스의 실소유주로 규정했다. 또한, 이 전 대통령이 최소 100억원대 다스의 비자금 조성 의혹에 개입했다는 의혹도 일고 있다.
검찰은 오는 7일 이 전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전 의원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한다. 이 전 의원은 지난 2007년 대선을 전후해 불법적인 금품 등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이 전 의원에 대한 보강조사를 통해 이 전 대통령 소환에 있어 만전을 기하겠다는 뜻으로 분석된다.
다만 이 전 대통령이 14일 소환 조사에 응할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 전 대통령 측은 “검찰의 소환통보에 성실히 응하겠다”면서 “14일은 검찰이 일방적으로 통보한 날짜다. 구체적인 소환일은 검찰과 협의를 거쳐 정하기를 바라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 전 대통령이 검찰의 출석 요구에 응할 시,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 포토라인에 서는 네 번째 전직 대통령이 된다. 앞서 노태우씨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박근혜 전 대통령이 검찰 포토라인에 섰다. 전두환씨는 지난 1995년 검찰의 소환 통보에 불응, 고향으로 내려갔다가 체포됐다.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사진=박태현 기자, pth@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