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지진 후 이어지는 여진 발생 지역의 예측 정확도를 두 배로 높였다.
마틴 와튼버그 구글 시니어 스태프 리서치 사이언티스트는 6일 오전 서울 강남구 역삼동 구글코리아에서 열린 화상 기자간담회에서 “AI기술로 여진 위치 예측 모델을 얻는 성과를 이뤘다”고 밝혔다.
와튼버그 사이언티스트에 따르면 기존 여진 예측 모델은 3%였으나 구글 측이 개발한 모델은 6% 정확성을 보여줬다. 그는 “이전 모델로 여진의 시기와 크기는 예측할 수 있었지만 여진이 발생할 위치를 예측하는 것은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다만 ‘여전히 정확도가 낮은 것 아니냐’는 지적에 와튼버그 사이언티스트는 “그만큼 인류가 지진에 대해 알고 있던 부분이 적었다”면서도 “실생활에 활용하려면 더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또 “(아직 초기 단계지만) 언젠가는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한 예측이 여진 위험이 있는 지역에 긴급 구조대를 투입하고 대피 계획을 알리는 등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구글 연구팀과 하버드 대학교가 공동으로 진행했다. 해당 시스템은 여진의 위치와 강도를 머신러닝으로 파악하는 것에 초점을 뒀다. 이들은 세계 118건 이상의 주요 지진 정보를 연구했다. 이를 통해 여진이 발생할 수 있는 위치를 설명하는 작업에 딥러닝을 적용할 수 있을지 확인했다.
와튼버그 사이언티스트는 이번 연구를 통해 지진 발생에 있어 중요한 요인일 수 있는 물리량을 식별하는 뜻밖의 결과를 얻었다고 말했다. 그는 “데이터세트에 신경망을 적용해보니 예측에 중요한 요인들을 알아볼 수 있었다”며 “이를 통해 자연 현상을 더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잠재적이 물리이론을 발견할 수도 있을 것 같다”
김도현 기자 dobest@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