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 국민을 강타했던 사회적 이슈는 ‘젠더(gender‧성)’였다. 미투 운동은 물론 성범죄, 성차별, 페미니즘 등 관련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았으며, 작년 네이버 사전 최다 검색어는 ‘페미니스트’였다.
젠더 갈등에 대한 의견은 여전히 분분하지만, 사회가 조금씩 변화하고 있음을 느낀다. 데이트 폭력, 몰래카메라 피해자의 절대 다수가 여성이라는 점에서 정부도 ‘젠더폭력’ 근절을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고, 여성가족부는 ‘도련님’ ‘처남’ 등 남녀 불평등의 한 사례로 지적되고 있는 가족 호칭을 개선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얼마 전에는 딸들의 분노를 이해하기 위해 페미니즘을 공부하기 시작했다는 아빠들의 소식을 들었다. 평소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던 부분들, 예를 들어 긴 머리, 복장, 말투 등도 젠더 차별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뿌리 깊게 남아 있는 가부장적 문화로 인해 젠더 문제가 쉽게 해결되긴 어렵겠지만, 그래도 여성 인권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다고 본다.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부분들이 사실은 누군가의 희생을 통해, 특정인에 피해를 주며 생겨난 것임을 알게 되면서 사회는 조금씩 바뀔 것이다.
젠더 이슈로 한 해가 뜨겁게 달궈진 후 맞는 첫 명절의 분위기도 조금은 달라지길 기대해본다. ‘설날’이라고 하면 오랜만에 온 가족이 만나 새해를 맞이한 기쁨과 덕담을 나누는 화목한 풍경과 함께 그 옆에서 음식을 장만하는 어머니의 모습이 그려진다. 어머니와 할머니, 굳이 성을 구분해 말하자면 여성이 차례상과 술상을 차리고, 아버지와 삼촌 등 남성은 고스톱을 치며 술상을 받는 모습이 이질적이진 않다. 너무나 오랫동안 당연하게 성별에 따라 역할이 구분되어 온 것이다.
나름 집안일을 분담하는 젊은 부부라도 명절만 되면 이 풍경에서 벗어나기 힘들다. 그러니 명절에는 여성들의 ‘명절 스트레스 극복법’을 다룬 전문의들의 조언이 쏟아져 나온다. 우스갯소리로 명절이 지나면 중년 여성들의 성형외과 등 병원 방문이 급격히 많아진다는 얘기가 있다. 여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는데, 명절 스트레스도 한 몫을 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명절 후 이혼 신청 건수도 높아진다고 하니, 긴 세월을 지켜온 전통이라고 해도 불합리한 역할구분에는 장사가 없나보다.
최근 제공되는 전문의의 건강정보에는 ‘여성 인권’이 언급된다. “우리 집에서는 귀한 딸”이라는 문구가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명절은 온 가족이 즐기는 것이 전통이다. 올 설은 온 가족이 당연하게 여겨왔던 성차별적 행동들을 깨고, 함께 기쁨을 나누는 시간이 되길 기대해본다.
유수인 기자 suin92710@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