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혜연 “버스회사 세습경영·방만 운영 퇴출해야… 요금 인상 반대”

정혜연 “버스회사 세습경영·방만 운영 퇴출해야… 요금 인상 반대”

기사승인 2019-05-16 12:53:44 업데이트 2019-05-16 12:53:47

정의당 정혜연 부대표는 16일 국회본청 223호에서 열린 157차 상무위원회에 참석해 “5개 회사를 운영하며, 연봉 8억원. 서울 65개 회사 중에 42곳 친인척 임원. 지금의 버스회사에서 얼마나 세습 족벌 경영이 만연한지 보여주는 사례”라며 “버스회사 집안에서 태어났다는 이유로, 출근도 하지 않으면서 수억원의 연봉을 챙겨가고 있다. 일부 회사에서는 시민 안전을 위해 지급하는 정비사 인건비 보조금마저 착복해 정비사들을 저임금과 고용불안정에 시달리게 했다. 경영을 엉망으로 하고 임원진 일가가 수억원을 가져가면서, 이를 시민의 돈으로 메꾸고 있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정 부대표는 “5월 14일 경기도가 버스 요금을 200원을 인상하기로 했고, 이에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다른 지역에서도 인상은 불가피하다 했다. 버스회사들의 세습족벌 경영과 방만한 운영이 만연한 지금의 틀을 바꾸지도 않고, 버스요금을 인상하겠다는 것이다. 서민돈을 이중으로 가져다가 세습 경영진의 배만 불리는 꼴이다. 교통비에 대한 서민 부담 늘리는 요금 인상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정 부대표는 “우리가 가장 먼저 우선해야할 것은 버스회사들의 세습경영과 방만한 운영을 퇴출하는 것이다. 피와 같은 국민들의 세금으로 운영하는 경영진에게는 지옥같은 예산 감시와 검열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선 국가돈으로 운영하고 있는 경영진에 대한 지자체의 감시를 철저하게 진행해야한다. 또한 직접 설립한 공기업이 버스를 운영하도록 하는 완전 공영제 도입을 위한 법 제도의 정비를 추진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정 부대표는 “투명하고 효율적인 운영과 공공성을 강화해 나가자”며 “이를 통해 시민의 안전을 보장하고, 교통복지를 강화해 시민들의 교통 기본권을 보장하는 기반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요금 인상을 중단하고, 버스회사들의 편법 세습 족벌 경영과 방만한 운영을 퇴출하는데 적극 나서기를 촉구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영수 기자 juny@kukinews.com

이영수 기자
juny@kukinews.com
이영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