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Y대학교(서울대, 고려대, 연세대)를 나오고 나이 60즈음 사회 지도층이라면 재산을 얼마나 가지고 있을까? 이같은 궁금증을 풀 수 있는 자료가 최근 공개됐다. 문재인 대통령이 국회에 제출한 정부 2기 개각에 포함된 장관 및 위원장 후보자 7명의 국회 인사청문요청안이다.
요청안에 따르면 조국 법무부·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이정옥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한상혁 방송통신위원회·조성욱 공정거래위원회·은성수 금융위원회 위원장 후보자 7명과 그 가족이 보유한 재산은 총 265억3600만원으로, 1인당 평균 37억900만원이다.
이들의 재산은 대부분 부동산으로 구성됐다. 특히 최기영·은성수·이정옥·김현수 등 일부 후보자는 주택 두 채 이상을 보유한 부동산 갑부였다. 7명이 보유한 현금도 ‘억’소리 났다. 이들은 예금으로만 38억800만원을 보유, 1인당 평균 5억원이 넘는 현금을 축적했다.
이같은 ‘억’ 소리 나는 재산은 일반 근로자에게는 실감이 안 가는 액수다. 통계청이 발표한 근로자 2인 이상 가구 월평균소득은 560만원(연 6720만원)이다. 이를 근거로 추산하면 근로자가 약 56년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하는 돈을 이들은 60년 살면서 모았던 셈이다.
월급 절반을 쓰고 모은다고 현실적인 가정을 하면 100년이 걸려도 모을 수 없는 돈이다. 다시 말하면 근로자가 평생 만져볼 수 없는 액수다. 그만큼 서민들이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은 클 수밖에 없다.
이들의 재산 많다는 것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헌법에서 자유 경제질서를 허용하고 있어서다. 하지만 재산 축적 과정에 탈·편법이 있었다면 다른 문제다. 이는 명명백백 밝혀 조금에 의혹도 없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재벌 개혁, 적폐청산 등 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책의 동력도 상실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이들이 탈·편법을 저지르지 않고 재산을 형성했다면 재테크 방법을 공유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민들에게 희망을 안겨줄 수 있는 수단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개각에는 금융을 책임지는 금융위원장도 포함된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은성수(58) 금융위원장 후보자는 나이 60도 되기 전에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시가 9억원이 넘는 30평형대 아파트와 현금(예금) 4억 이상을 모았다. 또한 그는 행시 27회로 공직에 발을 들여 놓은 후 줄 곳 경제·금융 전문가로 일했다. 그의 재테크 수완이 뛰어나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런 장관 후보자들의 재테크 노하우를 조금만 공유한다면 국민들의 팍팍한 삶에 조금의 희망이라도 보이지 않을까. 재테크가 아닌 재산 형성 과정에 탈·편법이 있었다면 국민의 냉엄한 심판을 겸허히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김태구 기자 ktae9@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