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이 지방이전에 이어 이번엔 ‘합병론’으로 안절부절 못하고 있다.
국회가 두 은행 본점을 지방으로 옮기려고 다투는 사이 이번엔 두 은행을 합쳐야 한다는 주장이 새로 나왔다. 이에 관해 은행 내부에서 반발이 심하다.
17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회가 내년 총선을 앞두고 국책은행 지방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해영 의원과 민주평화당 김광수 의원이 산은과 수은 본점을 각 지역구인 부산과 전주에 유치하려는 법안을 발의했다. 이들은 국토균형발전을 이유로 사안을 당·정·청에 계속해서 요구하고 있다.
다만 법안이 심사조차 들어가지 않아 지지부진한 상태다.
노조 반대도 만만치 않다. 금융노조는 지난달 국회 정무위가 주최한 토론회에서 국책은행 지방이전 정책 반대 의사를 명확히 했다.
신현호 수은 노조위원장은 “수은이 지방을 이전할 경우 가장 큰 피해는 고객”이라며 “대외거래 전담은행이다보니 주요 고객이 해외에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업이 서울에 몰려있고 해외발주처가 방한하는데 협력이 잘 이뤄지지 않으면 수주 실패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신 위원장은 이밖에 해외 유·무상 원조나 남북경협기금 등 수탁 업무 차질 등을 이유로 들었다.
이런 가운데 두 은행은 최근 이동걸 산은 회장의 이른바 ‘합병론’으로 또다시 위태로워졌다.
이 회장은 최근 기자간담회를 열고 사견을 전제로 “산은과 수은 합병을 정부에 건의 하겠다”며 “(이럴 경우) 더 강력한 정책금융기관이 나올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수은 측은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수은 관계자는 “굉장히 당황스럽다. 엄연히 업무 분장이 돼있고 합병 자체 가능성이 낮다”며 “합병하면 수은의 ECA(공적수출신용기관) 지위를 위협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산은 입장에서는 민영화 실패 등 업무가 줄어들 수 있는 상황에서 새 먹거리를 찾으려는 의도가 아닌가 생각 한다”고 덧붙였다.
수은 노조도 최근 성명에서 “대내 정책금융기관이라는 산은 역할에 충실하지 못한 책임회피 발언”이라고 다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