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리포트] 정기검진 습관, 사망률 높은 췌장암도 잡는다

[쿠키리포트] 정기검진 습관, 사망률 높은 췌장암도 잡는다

기사승인 2019-12-03 10:16:10

#난공불락 췌장암! 검진으로 예방할 수 있다.

#복부 초음파, MRI 외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 (ERCP) 적합.

#고위험군 환자, 6개월~1년마다 췌장질환 정기검진 필수

#글// 이병욱 H+양지병원 H+소화기병원 소화기내과 과장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한국인 사망원인 1위는 ‘암’이다. 지난해 인구 10만명당 154.3명이 암으로 사망해 가장 높은 사망률을 기록했다. 

췌장암은 5년 생존율(진단 또는 수술 뒤 생존년수) 이 불과 8% 정도에 불과한 가장 악명이 높은 암으로 꼽힌다. 위암 등에 비해 발생율은 낮지만 사망률은 높기 때문이다.

환자 수는 매년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8년 한 해 동안 췌장암 진단을 받은 환자 수는 총 1만9,971명으로 5년 전인 2014년의 1만3,808명에 비해 44.6%가 증가했다.

췌장암은 조기발견이 어렵고, 발견해도 전이가 빨라 전체 환자의 80%는 수술치료가 어려운 상황이다. 췌장암 수술이 가능한 1ž2기 환자는 약 30% 정도이다. 따라서 암을 발견해도 늦었다는 생각에 치료를 포기하는 환자가 많다.

물론 췌장암 역시 정기검진과 더불어 흡연과 정크푸드 섭취, 스트레스 관리 소홀, 과로 등 잘못된 생활습관 개선으로 충분히 예방이 가능하다.

‘췌장(이자)은 위장 뒤쪽인 등에 가까이 위치해 있는 장기로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소화 효소는 음식물을 십이지장으로 내보낼 때 원활한 음식물 분해를 돕고, 인슐린 등 호르몬을 분비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췌장에 이상이 생기면 우리 몸은 이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게 돼 음식물 소화를 통해 얻는 영양소를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게 된다.

췌장암의 90% 이상은 췌관 세포에 암이 생기는 '췌관선암'이다. 발병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흡연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췌장암 발생 위험도가 1.7배 정도 높고, 췌장암 환자의 3분의 1가량은 흡연이 원인이라는 통계도 있다. 

췌장이 굳어 췌장 기능을 상실하는 ‘만성 췌장염’도 췌장암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췌장염도 증상이 일반 배탈 증상과 비슷해 조기 발견이 힘들다. 실제 식욕부진, 소화불량 증상은 췌장암 증상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크게 신경 쓰지 않기 쉽다.

따라서 갑자기 체중이 감소하거나 황달, 복부나 등 부위 통증이 있거나 당뇨병, 만성 췌장염 환자와 췌장암 가족력이 있다면 6개월~1년마다 정기적으로 췌장암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안전하다.

췌장암은 초기 증상이 미미하고, 복부 초음파 검사를 해도 잘 보이지 않는 만큼 조기 발견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평소 비만, 당뇨, 만성 췌장염 등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사람은 정기적인 초음파 및 내시경 검진을 습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췌장암 치료의 가장 확실한 방법은 수술적 치료다. 절제술은 전이가 없는 소수 환자에게만 적용되지만 췌장암 완치를 희망할 수 있는 유일한 치료법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표적치료제나 항암치료, 방사선치료를 통해 암 크기를 줄여 수술이 가능해 지는 사례도 늘고 있는 추세이다.

혈액으로 췌장암을 찾아내는 췌장종양표지자(CA19-9) 검사는 췌장암과 담도암, 위암, 대장암, 간암 등 소화기계 암의 진단, 예후 판정, 재발 판정에 도움이 된다. CA19-9 표지자의 정상수치는 0~34U/mL이다. 

췌장암 고위험군 환자는 보다 정밀하게 췌장질환을 판단하기 위해 복부 초음파 및 MRI, 그리고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ERCP)를 받아야 한다. ERCP는 췌장 및 담도질환의 조기발견은 물론 치료까지 가능한 내시경 시술로 내시경을 십이지장까지 삽입한 후 췌담관에 조영제를 넣어 조영사진으로 질환유뮤를 관찰하는 검사법이다.

여기에 또 다른 내시경인 ‘경구담도내시경’을 병용하면 담도질환까지 정확히 진단, 치료할 수 있다. 경구담도내시경은 조영사진이 아닌 내시경 영상만으로 조직검사까지도 정확히 수행할 수 있는 장비다.

이기수 기자
elgis@kukinews.com
이기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