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쿠키뉴스] 송미경 기자 = "장사고 뭐고 도지사를 만나서 따지기 위해 도청가려고 나가는 중입니다."
정부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는 화훼농가를 돕기 위해 화훼 농가 살리기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소매점에는 아무런 혜택이 미치지 못하면서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2월은 졸업·입학식 등 연중 최고의 꽃 소비 시즌이지만, 코로나19 영향으로 모든 행사가 취소돼 꽃 소비가 급격히 감소된데다 생산자만을 위한 정책이 이뤄지면서 폐점위기를 맞고 있다.
전북지역 유통단계는 화훼농가에서 서울 경매장을 거쳐 전주에 위치한 도매점으로 오게 되며 전주지역의 350~400여 곳의 소매점들은 2곳의 도매점에서 구매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도매점 가격이 2배로 오른 탓에 동네 꽃 소매점은 꽃을 찾는 고객들도 줄어 막막한데 가격까지 올라 이중고를 겪고 있다.
소비자들도 불만은 마찬가지다. 고객들이 화훼농가까지 찾아가려니 너무 멀어서 가격은 비싸지만, 동네 꽃 가게를 찾을수 밖에 없어서다.
꽃 판매는 2월과 5월이 성수기다. 하지만 올해 2월 판매는 코로나19 영향으로 매출이 크게 떨어졌고, 정부의 화훼농가 살리기 정책까지 겹쳐 꽃 소매점 매출은 80% 하락한 상태다.
지난 13일 화훼농가 격려 방문을 시작으로 기관·단체에서는 릴레이 꽃 나눔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지난 8일부터 12일에는 한옥마을과 전주시청, 완산구청, 덕진구청에서 이동장터를, 14일부터 16일까지 국민연금공단, 전주역(코레일 전주시설사업소)으로 이어졌으며, 농협도 5천 송이를 구매했다. 21일에는 전북은행 본점에서 ㈜로즈피아 등 화훼농가 연합회가 직원과 시민을 대상으로 장미와 국화, 프리지어 등 꽃다발을 판매했다.
이처럼 꽃 사주기 운동에는 전주상공회의소, 전북경찰청 등 공공기관으로 확대되는 분위기다. 하지만 꽃 소비운동을 벌이려면 소상공인인 꽃가게에서 꽃을 사야 소상공인과 농가를 함께 살릴 수 있다는 것이다.
10년간 꽃가게를 하고 있다는 김 모(전주시 효자동)씨는 판매량이 80% 감소했다고 하소연한다. 김 씨는 "소매점에 대한 대책마련은 없고 화훼농가만 돕겠다는 취지는 형평성에 맞지 않다"면서 "1천원에 가져오던 꽃 한송이가 오히려 2천원에 가져와야 할 만큼 2배로 올라 소비자들에게 원망만 듣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김영란법때에도 꽃 소비 촉진을 위한 판매 행사가 있었지만 화훼농가에서 직접 소매점에 꽃을 줘서 판매하게 했다"며 "오히려 꽃집 홍보도 더 잘 돼 손해도 없고 판매 매출도 좋았다"고 토로했다.
s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