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국의 형 집행정지 결정에 따라 안 전 지사는 6일 새벽 광주교도소에서 나와 서울 종로구 서울대 장례식장에서 모친의 빈소를 지키고 있다.
이날 오전에는 이낙연·오영훈 더불어민주당(민주당) 의원이 빈소를 찾았다. 이 의원은 안 전 지사에게 “많이 애통하시겠다”며 위로의 말을 건넸다. 안 전 지사는 담담하게 “위로해주셔서 고맙다”고 답했다. 이 의원은 지난 2002년 대선 당시 노무현 당시 대통령 후보의 대변인을 지냈다. 안 전 지사는 당시 노 후보의 보좌진이었다.
문희상 전 국회의장과 윤관석·송옥주·김윤덕 민주당 의원도 빈소를 찾아 안 전 지사를 위로했다.

야권에서도 조문을 진행했다. 원유철 전 미래한국당 대표와 손학규 전 민생당 대표 등이다. 원 전 대표는 “제가 원내대표를 할 때 안희정 당시 충남지사와 초당적으로 의논할 일이 많았다”며 “슬픈 일을 당했을 때 여야를 떠나 서로 위로하고 격려하는 풍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 전 지사가 빈소로 향하기 전, 미리 찾아 조문한 인사도 다수다. 전날인 5일에는 윤호중·이인영·이광재·기동민·박용진 민주당 의원, 김부겸·백원우·이규희 전 의원, 정세균 국무총리, 박원순 서울시장, 김경수 경남지사, 박지원 국정원장 후보자 등이 빈소를 찾아 유족을 위로했다.

다만 정치권 일각에서는 조문 행렬 등에 대해 비판했다. 정의당은 문 대통령의 조화와 관련 “정치인으로서 무책임한 판단”이라고 지적했다. 조혜민 정의당 대변인은 “안 전 지사 사건은 유력 정치인으로부터 일어난 성폭력 사건”이라며 “정치 권력을 가진 이는 모두가 책임을 통감했다. 민주당 역시 반성의 의지를 표했다”고 꼬집었다. 이어 “민주당 대표, 원내대표, 대통령이라는 직책을 걸고 조화를 보낸 행동이 정말 책임을 통감한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며 “오늘과 같은 행태가 피해자에게, 한국 사회에 ‘성폭력에도 지지 않는 정치권의 연대’로 비치진 않을지 우려스럽다”고 강조했다.
국회 여성 근로자 페미니스트 모임인 ‘국회페미’도 “안희정씨는 더 이상 충남지사가 아니다”라며 “정부와 정당, 부처의 이름으로 조의를 표해서는 안 된다. 개인 비용으로 처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정치권은 이번 일이 마치 안씨의 정치적 복권과 연결되는 것으로 국민이 오해하는 일이 없도록 발언과 행동을 주의해야 했다”며 “정치권은 안씨가 휘두른 위력을 형성하는 데 결코 책임을 부정할 수 없다”고 질타했다.
안 전 지사는 수행비서 성폭행 혐의로 대법원에서 3년6개월의 실형을 확정받고 복역 중이다. 형집행정지 기간은 오는 9일 오후 5시까지다.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