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은 15초짜리 동영상 제작해 공유하는 앱으로 주로, 10∼20대 사이에서 인기가 많다.
유행하는 음악에 맞춰 춤을 추거나, 유행에 따라 연출한 영상에 독특한 효과를 줘서 계정에 올리면 친구와 불특정 다수에게 노출된다.
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에서 틱톡을 내려받은 누적 횟수는 20억건을 넘어섰다. 현재 150개가 넘는 국가에서 8억명 이상이 틱톡을 사용하고 있다.
국가별로는 인도에서 틱톡을 내려받든 횟수가 5억건으로 가장 많다. 이어 중국 1억8천만건, 미국 1억3천만건으로 그뒤를 따른 것으로 시장조사기관들은 보고있다.
가장 활발하게 틱톡을 사용하는 나라는 미국이다. 미국에서만 한 달 기준 8천만명이 틱톡에 영상을 올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틱톡을 미국에서 금지하겠고 엄포를 놓는 배경에는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있다고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1일(현지시간) 진단했다.
중국 베이징(北京)에 본사를 둔 바이트댄스가 운영하는 틱톡을 통해 미국인의 정보가 중국 정부 손에 넘어갈 수 있다는 게 미국이 우려하는 대목이다.
NYT는 "중국 국내법상 정부가 기업의 시스템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유로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안보에 위협을 가한다고 주장해왔다"며 "화웨이(華爲)와 ZTE(중싱통신)에 대해서도 (틱톡과) 비슷한 우려가 제기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이제 안보 문제를 고리로 화웨이와 같은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틱톡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겨냥한 미국의 제재가 시작된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플로리다주에서 워싱턴DC로 돌아오는 전용기 안에서 기자들에게 "틱톡이 우려되기 때문에 미국에서 금지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틱톡을 행정명령으로 금지할 수 있다고만 말하고 구체적인 방법이나 범위는 밝히지 않았다.
NYT는 또 '국제비상경제권법'으로 틱톡을 차단하는 방법과 틱톡 운영사를 '면허 없이 물건을 판매해선 안 되는 기업'에 포함하는 방법 등이 있다고 전했다.
지난 1977년 발효된 국제비상경제권법은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는 국가나 단체, 개인 등을 제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국 정부와 의회는 틱톡이 중국 기업이 만든 앱이라는 점 때문에 중국 공산당과 연계돼 있다는 의구심을 품고 있다.
중국 기업은 중국이 2017년 6월부터 시행한 사이버보안법에 따라 자료를 중국에 저장해 놓고, 정부 요청이 있으면 이를 제출해야하는 의무가 있다.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지난달 발간한 보고서에서 중국 정부가 모호한 사이버보안법을 무기삼아 정보를 통제할 수 있게 됐다고 분석했다.
이 때문에 틱톡은 최근 디즈니 출신의 케빈 메이어를 최고경영자(CEO)로 영입하고, 미국에서 1만명을 추가로 고용하겠다고 밝히는 등 '미국기업'으로 보이고자 노력해왔다.
틱톡은 이날 성명을 내고 "미국 사용자 정보는 미국 내에 저장한다"며 "사용자 사생활과 안전을 지키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국가안보 우려 공방의 한편에서는 틱톡과 트럼프 대통령의 악연도 따로 주목을 받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6월 20일 오클라호마주 털사에서 개최한 유세는 곳곳에 빈자리를 노출하며 흥행에서 참패했다. 틱톡 사용자들이 온라인으로 참가 신청을 했다가 결석한 것이 그 원인 가운데 하나로 거론되고 있다.
im9181@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