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김상훈 의원(국민의힘)이 2017년 5월부터 2020년 7월까지 3년간 한국감정원의 서울아파트 평형별 평균 매매시세 현황을 분석한 결과, 문대통령 취임월인 2017년 5월 평균 5억9592억원에서 4년차인 2020년 7월 현재 평균 9억2335만원으로 3억2743만원(54.9%) 상승했다.
전형면적별로는 중소형 아파트(전용면적 40.0~62.8㎡) 시세가 문정부 3년간 3억7218만원에서 6억1741만원으로 65.9%(2억4523만원) 상승, 가장 많이 뛰었다.
이어 ▲중형(62.8~95.9㎡미만) 5억2524만원에서 6억1741만원으로 61%(3억1673만원) ▲중대형(95.9~135.0㎡미만) 7억2738만원에서 11억4006만원으로 56.7%(4억1268만원) ▲대형(135.0㎡이상) 14억4614만원에서 19억9592만원으로 38.0% ▲소형 (40㎡미만)는 2억6117만원에서 3억5009만원으로 34%(8892만원) 올랐다.
김상훈 의원은 “지난 3년여간 서울에서 보통의 시민이 사고, 살집이 사라졌다”면서 “文정부의 부동산 실정이 되려 갭투자와 패닉바잉을 자극하면서 서민의 주거비용을 급증시켰다. 현 주거정책의 전반의 방향에 내용에 수정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ktae9@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