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문제가 된 부분은 지난 23일 추 전 장관이 페이스북에 쓴 문장이다. 추 장관은 방송인 김어준씨에 대한 정치편향 논란에 대해 "외눈으로 보도하는 언론과 달리 양 눈으로 보도하는 뉴스공장을 타박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했었다.
이에 발달장애인 동생을 둔 장혜영 정의당 의원은 "명백한 장애 비하 발언"이라며 "즉각적인 수정과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하라"고 요구했다.
과거 소아마비를 겪어 다리가 불편한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설마 추 전 장관이 장애인 비하 의도를 갖고 그런 수준 이하의 표현을 한 것은 아닐 것이라 애써 짐작하려 하지만, 잘못한 것이 틀림없는 만큼 서둘러 시정하고 사과하기를 바란다"고 했다.
그러자 추 전 장관은 26일 페이스북에 다시 글을 올려 이 두 의원을 향해 "장 의원과 이 의원은 문맥을 오독하여 제 뜻을 왜곡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국어사전을 동원해 반박에 나섰다.
그는 "접두사 '외-'는 '혼자인'의 뜻도 있지만 '한쪽으로 치우친'이란 뜻도 있다"며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외눈'은 시각 장애인을 지칭한 것이 아니며 장애인 비하는 더더욱 아니다"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김어준의 뉴스공장이 폐지돼서는 안 된다는 점은 애써 외면하고, 팩트체크는 관심 없이 '장애인 비하'로 폄하해 억지스럽게 만든 것은 유감"이라고 표현했다.
이같은 추 전 장관의 글은 장애인 비하 논란에 기름을 끼얹었다.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권에서 쓴소리가 나왔다.
민주당 5선 중진 이 의원은 페이스북에 "추 전 장관이 놓치고 있는 본질은 비하, 차별, 혐오냐, 아니냐, 판단 기준은 상대방이 어떻게 받아들이느냐는 것"이라며 "언론의 편향성이란 부정적 의미에 '외눈'을 빗대어 표현한 것이므로 명백히 비하한 것이 차별적 언동"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잘못을 지적받았는데도 계속 억지 주장을 하는 건 옹고집일 뿐 지혜롭지 않다. 얼른 시정하고 사과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정의당 장 의원도 "'외눈'이라는 단어의 사전적 의미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외눈'이라는 단어를 '양 눈'보다 가치가 덜한 것, 편향적인 것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사용한 점에서 장애 비하 발언이 맞다"고 비판했다.
그는 "약자에 대한 차별을 철폐하는 것은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소중한 헌법적 가치"라면서 "'내 표현이 적절치 못했다' 그 한 마디면 끝날 일"이라고 꼬집었다.
국민의힘도 공세에 나섰다. 박기녕 부대변인은 "전 법무부 장관이었던 사람이 이렇게도 민심을 모르고 자기주장만 펼쳐대고 있으니, 현직일 때 법무부가 어땠을지 짐작이 간다"며 "비루한 변명을 늘어놓으며 국민을 가르치려 들지 말고, 사과가 필요할 때 사과하는 법을 배우라"고 쏘아붙였다.
장애인단체도 비판을 쏟아냈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전날 "추 전 장관은 이번 발언으로 마음이 상했을 장애인들에게 진심으로 사과해야 한다"면서 추 전 장관의 발언이 장애인 비하 발언이 맞다고 지적했다.
단체는 "추 전 장관은 비하할 의도가 없었다고 하지만 듣는 이는 불쾌할 수 있고, 사회적으로 잘못된 인식을 심화시킬 수 있다"며 "적절하지 않게 용어를 사용해 장애를 부정적으로 오인할 수 있다. 또한 의도가 없었다는 해명은 '의도가 없으면 사용해도 된다'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의도가 없었기에 잘못된 행동이 아니라는 행동과 말에 진정 분노하고 있다. 지금이라도 장애인과 가족들에게 진심 어린 사과를 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jihye@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