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이차전지 매출 166조원 달성 목표를 세우고 대규모 연구개발(R&D) 예비타당성(예타), 세액공제 등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국내 전지 3사와 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은 오는 2030년까지 40조원을 투자하고, 정부는 R&D·세제·금융 등을 적극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8일 LG에너지솔루션 오창 제2공장 부지에서 배터리 1등 국가 도약을 위한 'K-배터리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K-배터리 발전 전략'은 문 정부 들어 처음 수립하는 종합 대책이다. 지난 2010년 이차전지 경쟁력 강화방안과 견줘 투자와 R&D 인센티브를 바탕으로 지원방을 구체화해 실행력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라고 정부는 설명했다. 또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종합대책 수립 및 추진하면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배터리 수요 기업, 공급 기업, 소부장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협력해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먼저 차세대 배터리 1등 기술력을 선점하기 위해 전고체·리튬황·리튬금속 등 차세대 배터리 상용화를 지원하는 대규모 R&D 사업 추진, 차세대 배터리 파크 구축, 차세대 배터리에 필요한 핵심 소부장 요소기술 R&D 강화, 재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성능·수명·안정성을 대폭 향상시키기 위한 소재 개발과 공정 개선 등을 지속 지원하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또 연대와 협력의 산업 생태계 조성을 통해 대한민국을 글로벌 배터리 선도기지로 만들 예정이다. 이를 위해 희소금속 비축시스템 개선, 배터리 재활용 등으로 원자재 공급망 안정성 확보, 배터리 3사가 참여하는 민관 합동 R&D 혁신펀드 조성 등을 통해 핵심 배터리 소부장 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배터리를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해 세제 지원 강화, 전문인력 양성규모를 연 1100명으로 대폭 확대(현재 연 50명 규모), 국가핵심기술 관리제도 개선 등 제도적 기반도 선제적으로 마련할 방침이다.
배터리의 새로운 수요시장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배터리 회수체계 마련 등 사용 후 배터리 산업 육성을 통해 배터리 제2의 생애 개막(2nd Life), 배터리 서비스 신산업 등 발굴·육성, 드론·선박·기계 등 배터리가 적용되는 새로운 응용제품 시장을 확대할 구상이다.
이날 행사에서 LG는 오는 2030년까지 15조1000억원을 투자해 한국을 글로벌 배터리 기술과 인재의 허브로 만들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이와 관련해 김종현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은 차세대 배터리에서도 세계 1위를 공고히 하기 위해 국내 배터리R&D 및 생산기술 삼각허브 구축, LG IBT 설립을 통한 배터리 전문 인력 육성, 소부장 업체 협력을 통한 밸류체인 강화 등 3대 핵심 과제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김 사장은 이를 위해 "LG(LG에너지솔루션, LG화학)는 향후10년간 R&D분야 9.7조원을 포함해 총15.1조원을 국내에 투자하고, 국내 8천여개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국내가 R&D 및 생산 기술 허브가 되어 차세대 배터리 개발과 생산기술을 선도하기 위해 오창, 대전, 수도권을 중심으로 '배터리 R&D 및 생산기술 삼각 허브'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김 사장은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R&D 및 생산기술 삼각 허브의 유기적 운영으로 특허 등 IP(지식재산권) 확보를 늘리고 해외 생산기지에 핵심 기술을 전파할 것"이라며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한 배터리 기업으로 자리매김해 한국이 최고의 기술 강국이 될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고 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또 차세대 배터리 전문 인력 조기 육성을 위해 오창 2공장에 LG IBT(Institute of Battery Tech)를 설립한다. 전세계 배터리 업체 중 전문교육기관을 신설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G IBT는 오창 2공장 내 최대 400명 수용 가능한 지하1층~지상6층, 연면적 1만9500㎡ 규모로 지어질 전망이다. 2023년 1월 준공을 목표로 올해 11월 착공할 예정이다.
eunsik80@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