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4일 (월)
기업 2곳 중 1곳 올 추석 상여금 지급, 평균 61만2천원

기업 2곳 중 1곳 올 추석 상여금 지급, 평균 61만2천원

사람인 조사, 대기업 105만원‧중견 80만9천원‧중소 59만5천원

기사승인 2021-09-02 15:31:49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우리나라 기업 2곳 중 1곳만 올해 추석 상여금을 지급할 계획이며, 지급하는 상여금은 평균 61만2000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사람인은 최근 기업 1219개사를 대상으로 ‘추석 상여금 지급 계획’에 대해 조사한 결과, 올 추석에 상여금을 지급한다고 답한 기업은 54.2%였다고 2일 밝혔다.

또 이번 조사에 다르면 지급하는 상여금은 평균 61만2000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58만6000원 보다 소폭 늘어난 수치다. 하지만 2019년 조사 당시 64만7000원보다는 3만5000원 줄어 지난 2012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두 번째로 적은 금액이다.

기업 형태별로는 대기업이 105만원, 중견기업 80만9000원, 중소기업 59만5000원 순으로, 대기업 지급액이 중소기업의 1.8배에 달했다.

조사에 응답한 기업들이 상여금을 지급하는 이유는 ‘직원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서’(57.2%, 복수응답)가 1위였다. 이어 ‘정기 상여금으로 규정돼 있어서’(33.1%), ‘직원들의 애사심을 높이기 위해서’(20.3%), ‘추석 비용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서’(15.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영 상황이 나쁘지 않거나 회복세여서’(2.7%), ‘상반기에 거둔 실적이 좋아서’(2.6%) 등 호실적을 거둬 지급했다는 응답 기업은 미미했다.

상여금을 지급하지 않는 558개사의 경우 그 이유로 ‘선물 등으로 대체하고 있어서’(41.2%,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명절 상여금 지급 규정이 없어서’(30.6%), ‘코로나19 사태로 경영 위기 상황이어서’(23.3%), ‘상황이 안 좋아 지급 여력이 없어서’(18.3%), ‘상반기 성과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서’(6.6%) 등이라고 답했다.

전체 기업의 10곳 중 7곳(74.8%)은 올해 추석에 직원들에게 선물을 지급할 계획이었다. 1인당 선물 예산은 평균 6만3000원으로 확인됐다.

선물 지급 품목은 ‘햄, 참치 등 가공식품’(51.4%, 복수응답)이라는 기업이 절반 이상으로 많았다. 이외에 ‘배, 사과 등 과일류’(16.9%), ‘한우 갈비 등 육류’(13.6%), ‘홍삼 등 건강보조식품’(11.5%), ‘상품권’(8.9%), ‘화장품 등 생활용품’(8.7%) 등의 순이었다.

올해 추석에 법정 공휴일과 주말에 더해 더 길게 쉬는 기업을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 기업의 38%가 추석 연휴 전‧후로 법정 공휴일과 주말 외에 추가 휴무를 실시하거나, 직원들의 연차 사용을 장려한다고 답했다.

추가 휴무를 실시하는 이유는 절반 이상(56.8%, 복수응답)이 ‘직원들의 휴식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라고 답했다. 또 ‘직원들의 사기 진작을 위해서’(32.4%), ‘연차 수당을 절감하기 위해서’(28.3%), ‘업황이 좋지 않아 휴무가 필요한 참이어서’(7.6%), ‘취업규칙에 명시되어 있어서’(5.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추가 휴무 방식은 ‘연차 사용을 장려’(63.1%, 복수응답)한다는 답이 가장 많았다. 이밖에 ‘유급 휴가 부여’(28.3%), ‘무급 휴가 부여’(10.4%), ‘취업규칙‧단체협약상 휴무’(6.7%) 등이 뒤를 이었다.

전체 기업의 50.7%는 올해 코로나19로 인해 직원들이 귀경‧귀성을 자제하도록 권고한다고 응답했으며, 2.5%는 강력하게 제한한다고 답했다.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붕괴 나흘째 ‘광명 신안산선’…주민 대피명령에 학교는 휴업

신안산선 붕괴 사고 나흘째인 14일 현장 실종자 수색을 위해 소방당국이 밤샘 작업을 벌였다.이날 경기도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소방당국은 전날 오후 2시 10분 수색 재개를 위해 상부 안전펜스 및 낙하물 제거 등 조치에 돌입했다. 이어 오후 10시쯤 굴삭기 3대를 배치, 구조작업 위치 경사면을 확보했다. 40여분 뒤에는 토사 유출 방지를 위한 덮개 작업을 마무리했다. 밤샘 작업에 이은 수색은 이날 오전까지 계속되고 있다. 지난 11일 오후 3시 13분 포스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