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단비대증이 사망을 포함한 심혈관 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박철영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연구팀은 28일 말단비대증 환자에서 부정맥과 심부전 발병률이 높다고 밝혔다.
말단비대증은 성장이 끝난 후에도 뇌하수체종양에서 성장호르몬을 지속적으로 분비해 손, 발, 턱, 코, 귀 등 말단이 비대하게 커지는 희귀질환이다. 말단비대증은 심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됐으나, 질환의 빈도가 낮아 정확한 내용을 알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2006년~2016년 사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등록된 2259명의 말단비대증 환자 중 심혈관질환 및 뇌졸중 이력이 없는 1874명의 데이터를 평균 7.5년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말단비대증 환자의 부정맥 발병률은 1년에 1000명당 3.06명이었다. 대조군의 경우 1년에 1000명당 1.07명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말단비대증 환자의 심부전 발병률은 1년에 1000명당 3.11명이었으나 대조군의 경우 1년에 1000명당 1.63명으로 말단비대증 환자에게서 심부전 발병률이 높았다.
특히 연령, 성별, 2형 당뇨병 여부를 보정해도 대조군 대비 각각 59%, 54%의 발병위험도가 증가해 말단비대증이 부정맥과 심부전 발병에 독립적인 영향이 있음을 시사했다.
반면 말단비대증 환자의 심근경색 및 뇌졸중 발병률은 1년에 1000명당 3.27명으로 대조군(1년에 1000명당 2.65명)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박철영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말단비대증 환자에게서 심장질환의 발병률이 높다는 것은 여러 선행 연구를 통해 추정된 바 있으나,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 관찰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말단비대증 환자에서 부정맥, 심부전의 높은 위험도를 보인 것 뿐만 아니라 치료 후에도 심부전은 유의한 개선을 보이지 않았다”면서 “즉 이들은 진단 시부터 적극적인 심장 검사 및 위험요소 조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유럽 심장 분야 저널인 European Heart Journal 에 게재됐다.
김은빈 기자 eunbeen1123@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