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점도 있다. 무조건적인 절약은 지속하기 어렵다. 또 무지출 챌린지 성공 사례 중에는 타인의 조력에 의존했던 경우가 많았다. 더 실용적인 방법은 없을까. 이에 기자는 2000년도 초반을 강타했던 MBC 예능 프로그램 ‘만원의 행복’을 벤치마킹하여 무지출 챌린지의 규칙을 재정비했다.
당시 만원의 행복에 참여했던 연예인들은 일주일 생활비를 만원 안에서 해결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약 20년이 흐른 지금도 만원으로 일주일 살기가 가능할까. 지난 8월15일부터 8월21일까지 ‘만원의 행복 챌린지’를 해봤다.

챌린지를 돌입하기에 앞서 ⑤번 조항(이벤트 쿠폰, 중고거래 등의 부수입은 가용 범위로 허용한다.)을 최대한 확보하려고 노력했다. 이를 위해선 지독해질 수밖에 없었다. 한 금융 앱에서 제공하는 만보기 포인트, 당장 교환이 가능한 커피 쿠폰, 그리고 중고거래까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부수입을 모았다.
그동안 쌓아뒀던 만보기 포인트 1000원, 카페에 남아있는 적립금 2800원이 있었다. 또 챌린지 기간 도중 옷장에 묵혀 뒀던 헌 옷을 장당 3000원에 판매해 6000원을 추가 확보했다. 눈물겨운 노력을 통해 기본급 1만원에서 추가로 9800원의 가용 금액을 확충했다. 1만9800원으로 일주일을 버티는 도전이 시작됐다.

금융 앱을 통해 지난 한 주간 소비 내역을 확인했다. 20만원 안팎의 전체 지출 중에서 커피값이 30%나 됐다. 평소 커피를 마실 때면 가격대가 낮은 카페 위주로 다녔다. 그중에서도 가장 저렴한 2500원짜리 아이스 아메리카노만 마셨다. 그런데도 한 주간 커피값에 6만원 이상 썼던 것이다.
커피에 쓰는 돈을 아끼면 지출을 크게 줄일 수 있으리라 생각했다. 하지만 마시는 양을 줄이긴 힘들었다. 집에서 만들어 오는 수밖에 없었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콜드브루 원액 1L를 4990원에 샀다. 1L로 10잔 분량의 커피를 만들 수 있다. 콜드브루 원액으로 집에서 만든 더치커피 10잔 그리고 쿠폰으로 무료 교환한 커피 4잔을 합쳐 14잔을 체험 기간에 마셨다. 총 5000원이 안 되는 비용이었다.

돈을 벌기 위해선 돈이 필요하다. 출·퇴근, 대중교통 비용만 평일 기준 1만원(*지하철 일반 운임요금 1250원 X 2(왕복) X5(주5일))이 넘어갔다. 대중교통 비용을 아끼려 자전거를 이용하기로 했다. 집은 서울 용산구, 회사는 종로구에 있다. 대중교통을 타면 40분 정도 걸린다.
우려했던 것보다는 순조로웠다. 자전거 도로는 잘 정비되어 있었다. 지도를 보여주는 앱 기능도 훌륭했다. 거리는 약 7km. 통근 시간은 평소보다 20-30분 더 걸리긴 했지만, 자전거 위에서 보는 아침 풍경은 새로웠다.
자전거 통근은 만원의 행복 챌린지를 도전하면서 가장 큰 변수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던 항목이었다. 다만 직접 도전해보니 환경적인 요인보다는 심리적인 거리감이 더 컸다는 것을 확인했다. 일정이 있어 먼 길을 이동해야 했던 18일을 제외하면 무사히 자전거로 출퇴근을 마쳤다. 챌린지가 끝난 지금도 자전거 통근은 여건이 될 때마다 하고 있다.

운이 좋게도 현재 인턴 생활을 하는 곳에선 하루 두 번 구내식당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구내식당 식단표를 보고 끌리는 메뉴가 없으면 외부 음식점에 가는 날도 많았다. 이번 챌린지 기간만큼은 구내식당을 외면할 수 없었다.


이외에도 돈을 아끼기 위해 여러 시도를 겸했다. 스터디원들과 공부하는 날에는 스터디룸 대관 대신 원격 회의 프로그램 활용하기, 간식을 먹고 싶을 땐 편의점 대신 회사 탕비실 다과 먹기, 연인과 영화관 데이트 대신 공원에서 산책하기 등 당연히 여겼던 지출의 대안을 찾으려 했다. 다행히 노력은 통했다. 체험 주간 동안 쓴 돈은 총 1만8170원. 무려 1630원의 여유를 남기며 만원의 행복 챌린지에 성공했다. 평소 20만원에 육박하던 한 주 간의 생활비가 약 10분의 1의 금액으로 대폭 감소했다.
무사히 챌린지에 성공했지만, 완벽한 성공이라고 볼 순 없었다. 애초에 식비를 아낄 수 있는 유리한 환경이 마련되어 있어서 챌린지를 마무리할 수 있었다. 또 이 생활방식이 근본적으로 지속 가능한지 의문이 들었다. 인간관계에 해를 끼치지 않는 선에서 진행했지만, 문화생활이나 쇼핑 등의 지출은 꿈도 꿀 수 없었다. 필요한 지출까지 막는 챌린지는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일상을 유지할 수 없게 만든다. 알뜰한 소비와 양질의 생활방식 사이 적절한 위치는 어디쯤일까. 청년이 균형을 잡고 서기엔 너무 어려운 시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