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을 이끌어 갈 병원장 자리가 공석인 채 국정감사가 진행됐다. 김연수 서울대병원장이 자리했지만, 퇴임을 앞둔 입장인 만큼 국감 취지가 퇴색될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한다.
19일 교육위원회 국정감사가 열린 가운데, 서울대학교, 인천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치과병원을 대상으로 심사안건이 이뤄졌다.
특히 이날 서울대병원은 임기를 한시적으로 이어가고 있는 김 서울대병원장이 피감기관장 신분으로 출석했다. 김 병원장은 이 날 다양한 안건에 대해 무난히 답변했지만, 어디까지나 임시직임을 분명히 했다.
유기홍 더불어민주당 의원(위원장)은 “김 전병원장의 임기는 5월말까지로 알고 있다. 지금 5개월 째 후임 인계가 제대로 안 되고 있다. 늦어지는 이유에 대해 국립대병원장협의회에서 직접 성명서까지 제출한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일부에서는 정권에 가까운 유력자들이 개입하고 있다는 얘기까지 들린다. 사실 여부는 확인할 수 없지만, 뒷얘기가 나오지 않도록 신속하게 진행돼야하는 일이 아닌가”라고 되물었다.
김 병원장은 “서울대병원 경우 후임 원장이 선임될 때까지 임기를 지속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어, 아직 원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여러 가지 이유로 선임 이사회가 늦어졌고, 8월 중하순에 논의가 이뤄져 현재는 후보 검증 절차에 들어간 것으로 알고 있다. 곧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답변했다.
서울대병원 이슈 수두룩한데…“사업 진행은 대체 언제”
금일 진행된 국정감사에서는 △진료대기 기간 및 진료시간 △수어통역사 부재 △장애인 고용률 제자리 △필수의료 등 다수 질의가 쏟아졌다. 김 병원장은 “반영하겠다”고 답했지만, 실상 사업이 진행되기 위해선 후임이 지정돼야만 가능하다.
특히 지난달 22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가 “서울대병원장 임명 절차가 늦어진다는 핑계로 약속했던 노조와의 교섭은 외면하고 있다”고 문제를 지적하면서, 병원장 자리 부재로 인해 실질적 경영에도 차질이 있음이 드러났다.
서울대병원 노동조합에 따르면 8월17일 코로나19 감염병 종합대책 수립, 간호인력 충원 문제, 영리자회사 규제방안 마련 등에 대한 서울대병원과의 단 한차례 교섭 이후 더 이상 논의를 진행하지 못했다. 김 병원장이 결정 권한이 없다며 교섭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윤태석 의료연대본부 서울지부 서울대병원분회장은 “김연수 병원장은 임기가 끝났다며 교섭을 거부하면서 윤석열 정부의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에는 계획서를 제출했다”며 “지금이라도 빨리 병원장을 임명하고 근로조건과 공공의료, 인력충원을 위한 단체협약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더 큰 투쟁을 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서울대병원장 임명 절차는 서울대병원 이사회의 면접 및 투표, 교육부 장관의 추천, 대통령 임명의 절차를 거쳐 진행된다. 병원장 임기는 3년으로, 김연수 현 병원장은 올해 5월 31일로 임기가 종료됐지만 차기 병원장이 정해질 때까지 임기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교육부에서 차기 병원장을 제청해 대통령 임명만이 남았지만 아직도 감감무소식이다.
또한 교육부 추천으로 올라와있는 후보들을 둘러싸고 윤핵관, 김건희 라인이라는 등 정치적 가십거리가 돌면서 차기 병원장에 대한 내부 기대감이 저하되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대병원 근무하는 한 관계자는 “국감 자리는 향후 병원 운영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는 자리인 만큼 앞으로 이끌고 나가야 할 병원장이 자리했어야 하는 게 맞다. 사실상 자리 채우기에 불과하다”며 “윤 정부는 하루빨리 병원장 자리를 선정하길 바란다. 내부에서도 인력충원, 근로조건 개선 등 시급히 해결해야 할 사안들이 많다”고 강조했다.
박선혜 기자 betough@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