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업계는 올해도 다사다난한 한 해였다. 가장 큰 이슈는 단연 ‘물가’였다. 물가안정을 이루고자 하는 정부의 기조 아래 기업들은 제품 가격 인상을 철회하거나 보류했다.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시작되면서 수산물 안전에 빨간불이 켜지는가 하면, 설탕 역할을 하는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이 발암물질로 분류되면서 기업과 소비자 불안이 가중되기도 했다.
또 정부가 돌연 일회용품 사용 규제를 전면 무력화하면서 시민단체와 일부 소상공인들의 강한 반발이 있기도 했다. 이밖에 쿠팡과 CJ제일제당 간 기싸움, 먹태깡과 아사히 캔맥주의 품귀현상, 하이볼 인기로 인한 위스키 판매 증가 등의 사건이 끊이질 않았다. 이같은 사건들을 쿠키뉴스가 되짚어봤다.
고물가 현상이 계속되면서 정부가 물가 안정을 목표로 식품업계에 제품 가격 인상 자제를 촉구하고 있다. 이에 올 초부터 식품 제조사들은 가격 인상 계획을 철회하거나 보류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난 6월 국제 밀 가격 하락으로 관련 제조사들이 라면, 우유, 빵, 과자 등 일부 제품 가격을 낮추는 것을 시작으로 지난달까지 가격 인상 계획을 철회하는 기업들이 속속 늘어났다. 업계에서는 “물가안정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지 못하고 기업에게 책임을 지게 하는 것”이라며 비판하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쿠팡과 CJ제일제당 간 ‘햇반’ 납품단가 관련 상품 발주 중단 사태에 이어 올해엔 뷰티업계 경쟁으로 번지기도 했다. 당시 CJ제일제당은 쿠팡의 발주 중단 이후 신세계 등 쿠팡을 제외한 타 플랫폼과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이에 쿠팡은 CJ제일제당을 겨냥 ‘독과점 식품기업’ 제품이 쿠팡에서 사라져 중소·중견기업 제품 판매량이 급증했다고 받아쳤다. 이후 뷰티시장에 뛰어든 쿠팡은 중소기업들이 쿠팡을 향한 납품·거래를 막았다며 CJ올리브영을 공정거래위원회에 대규모유통업법 위반 혐의로 신고했다.
하이볼 인기에 힘입어 위스키 판매량이 늘었다. 반면 코로나 시기 늘었던 와인 소비는 감소했다.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10월 스카치, 버번 등 위스키류 수입량은 2만6937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8% 늘었다. 올해는 사상 처음으로 3만톤을 넘어설 전망이다. 이에 정부는 위스키와 소주 등 국산 증류주의 세 부담이 수입산보다 높은 역차별을 해소하기 위해 제조자의 국내 유통 판매관리비 등을 차감해 세금을 정하는 ‘기준판매비율’을 도입하기로 했다.
농심 먹태깡과 아사히 생맥주 캔이 품귀 현상도 불러일으켰다. 농심이 지난 6월 선보인 이 제품은 출시 일주일 만에 초도 물량 100만봉이 모두 팔렸고, 5개월여 만인 지난달 30일 기준 누적 판매량 1000만봉을 넘어섰다. 이후 경쟁사에서는 먹태나 노가리, 새우 등 해산물 맛 과자에 청양마요를 곁들인 비슷한 제품들이 잇따라 출시됐다. 또 아사히 생맥주 캔이 인기를 끌며 일본 맥주의 귀환을 알렸다. 당초 불매운동의 타겟이었던 일본 맥주 수입량은 다시 증가하며 수입맥주 선두를 차지했다. 반면 지난해 선두로 올라섰던 중국맥주는 ‘칭다오 소변 테러‘ 이슈로 1년 만에 고꾸라졌다.
지난 7월에는 설탕 대신 쓰는 인공감미료 아스파탐 논란이 있었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 물질(2B군)’로 분류하면서다. 아스파탐은 설탕보다 단맛이 200배 가량 강하다. 음료 등에 조금만 넣어도 단맛을 내고 칼로리는 거의 없어 여러 제품에 쓰인다. 당시 식품업계에서는 아스파탐을 사용하던 업체의 경우 이를 대체할 인공감미료를 찾기 시작했고, 아스파탐을 사용하지 않던 업체는 이를 활용해 마케팅을 벌이기도 했다. 다만 이런 논란과는 달리 아스파탐의 유해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WHO 합동 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가 평가한 아스파탐 권고 섭취량에 도달하려면 체중 60㎏ 기준 성인이 250㎖ 제로콜라를 하루에 55캔 가까이 마셔야 한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지난 8월 말부터 시작되면서 소비자들을 비롯해 식품‧외식업계를 중심으로 불안감이 확산됐다. 업계에서는 소비자들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방사능 검사를 강화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수산물, 소금 등을 유통·판매하는 식품업계는 오염수 방류에 따라 수산물 등의 검사 횟수와 품목을 늘리기로 결정했다. 현재까지 수산물 소비량이 크게 떨어지진 않은 상황으로 보인다. 다만 오염수의 한국 도달 시기는 조금씩 편차는 있지만 최소 7개월에서 최대 5년까지 다양하다. 7개월 내일 경우 내년 초부터 영향권 내에 접어드는 셈이다.
정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카페와 식당 등 식품 매장에서 일회용품 사용을 금지하는 ‘재활용법’ 규제를 시행했다. 다만 현장의 혼선과 소상공인의 어려움 등을 감안해 1년간 계도기간을 부여했다. 하지만 지난달 돌연 사용 제한 대상 품목에서 종이컵을 제외하고, 플라스틱 빨대 사용 기한을 무기한 연장한다고 발표했다. 환경운동연합 등 시민단체를 비롯한 일부 카페 등에서는 “총선을 앞두고 친환경 정책을 철회했다”며 비판했다. 반면 소상공인연합회와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등은 “소상공인의 부담 덜어줄 바람직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안세진 기자 asj0525@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