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금감원에 따르면 스팩합병을 통해 상장한 기업의 미래 영업실적이 과다하게 추정되는 등 기업가치(합병가액)가 고평가된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스팩상장 기업의 영업실적 추정 현황을 살펴보고 합리적인 추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필요 사항을 개선키로 했다.
실제 한 바이오기업은 A 질환 치료제 개발을 통해 20XX년 1430억원의 매출 발생을 추정했으나 임상시험 등이 지연되며 매출 발생예정일이 1년 이상 지났음에도 매출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 다른 콘텐츠 기업은 수주가 진행 중인 모든 건에서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가정해 20XX년 사업부 매출액 346억원을 추정했으나 최종적으로 수주가 이뤄지지 않으며 실제 매출액은 35억원 수준이었다.
금감원이 지난 2010년부터 올해 8월 중 상장한 스팩상장 기업의 매출액과 영업이익 추정 현황을 분석한 결과 평균 매출액 추정치는 571억원이나 실제치는 469억원으로 추정치에 비해 17.8% 미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영업이익 추정치는 106억원이었지만 실제치는 44억원으로 58.7% 모자랐다.
매출액 미달 기업 비중과 영업이익 미달 기업의 비중은 각각 평균 76%, 84.1%에 달했다. 추정 연차가 높아질수록 미달 기업의 비중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장래 영업환경 등을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전망해 영업실적을 추정한 사례들이 있었다.
금감원은 스팩상장 기업들의 추정치와 실제 매출액 및 영업이익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스폰서(증권사 등)와 외부 평가법인(회계법인)이 기업가치 고평가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함에도 합병 성공 및 업무 수임을 우선하는 등 그간 자신의 이익을 위해 투자자 보호 노력을 소홀히 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가치가 고평가되면 스팩 투자자에게 불리한 합병비율이 적용되고, 결국 투자자 피해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는 게 금감원의 설명이다.
투자자 피해를 방지하고자 금감원은 회계법인의 스팩상장 기업 외부 평가 이력 공시를 강화하고 스팩상장 기업의 영업실적 사후 정보(예측치와 실적치의 차이, 차이발생 사유 등)가 충실히 공시되도록 작성 양식을 개선할 예정이다.
또 내년 상반기부터는 유사 기업의 재무제표와 주가를 비교해 산출한 상대가치 활용도를 제고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기업가치에 적정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기업공시 서식 작성 기준 개정, 상대가치 비교공시 활성화 등 제도개선을 신속하게 추진할 것”이라며 “미래 영업실적 추정의 근거가 충분히 기재되었는지 등을 자세히 살펴보는 등 심사를 강화할 방침이며 보완이 필요한 부분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정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진용 기자 jjy4791@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