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앞두고 과일값 20% 뛰었는데…서울사랑상품권 할인은 고작 5%

설 앞두고 과일값 20% 뛰었는데…서울사랑상품권 할인은 고작 5%

기사승인 2024-01-25 14:23:32
24일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 모습. 사진=임지혜 기자

설을 맞아 서울시가 오는 30일부터 31일까지 이틀간 서울사랑상품권 1000억원어치를 발행한다. 서울페이플러스 등에서 최대 1인당 월 50만원까지 살 수 있다. 할인율은 5%다. 지난해와 비교해 1인당 구매한도는 20만원, 할인율은 2%p 떨어졌다. 최근 몇 년간 꾸준히 물가가 상승하면서 올해 설 차례상 물가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런 가운데 할인율을 알뜰살뜰 챙겨 온 시민들 사이에선 5% 할인율에 아쉽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서울사랑상품권은 발행 때마다 접속이 몰리고 매번 완판될 만큼 인기가 높다. 서울시는 구매일에 시민들이 한꺼번에 몰리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성북구·용산구 등 13개 자치구는 30일, 중구와 강동구 등 12개 자치구는 31일에 구매할 수 있게 하기도 했다. 

고물가에 높아지는 인기와 반대로 발행량과 할인율은 계속 축소되고 있다. 지난 2022년 10%였던 할인율은, 지난해 7%로 줄었고 올해는 5%까지 떨어졌다. 지난해 정부가 지역상품권 발행을 축소하기로 하면서 예산이 삭감된 탓이다. 더구나 재정자립도가 높은 서울시는 지역상품권 할인에 대한 국비 지원을 받지 못한다. 시 관계자는 쿠키뉴스에 “서울사랑상품권 관련 예산이 줄고 국비지원 자체가 안 되면서 할인율을 높일 수가 없었다”고 말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서울사랑상품권 발행 지원 예산으로 88억8000만원이 책정됐다. 지난해 267억원보다 66.7%나 줄어든 수준이다. 재정규모가 비교적 양호한 지자체라고 하더라도 지역사랑상품권을 전액 자체 예산으로 발행해야 하는 만큼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서울시가 할인율을 5%로 낮춘 이유다. 내년 예산은 아직 알 수 없지만, 국비 지원이 없는 이상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을 늘리거나 할인율을 높이긴 쉽지 않아 보인다.

24일 서울 양천구 목동 깨비시장의 한 상점에 서울사랑상품권 등을 사용할 수 있는 QR코드가 마련돼 있다. 사진=임지혜 기자

시민들은 5% 할인율이 아쉽기만 하다. 매번 서울사랑상품권(광역)과 구 단위 지역사랑상품권을 충전해 사용 중이라는 직장인 김(29·서울 동작구)씨는 “50만원 한도밖에 사지 못하는데 5% 할인율은 너무 낮다”며 “체감 물가가 크게 올라서 힘든데, 알뜰하게 잘 쓰던 서울사랑상품권 할인율까지 축소하는 건 너무 아쉽다”고 했다.

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 올해 설 차례상을 차리는 데 드는 비용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일부 공산품을 제외하고 대부분 품목 가격이 오른 탓이다. 과일과 채소류는 1년 전보다 20% 넘게 올랐다.

김씨는 “구 단위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지역사랑상품권은 서울 전 지역에서 사용할 수 없어 불편하기도 하다. 시와 구의 예산이 줄었다면 협업을 통해 흩어져있는 지역페이를 하나로 통합해 가맹점을 늘리고 할인율과 발행량을 늘리면 좋겠다”고 말했다.

서울 양천구 목동깨비시장에서 만난 시민 A씨는 올해 서울사랑상품권 할인율이 5%라는 말에 “작년보다 더 줄었다. 너무 적다”며 놀란 반응을 보였다. A씨는 “여러 지역상품권을 사두면 돈이 분산돼 관리하기 힘들어서 온누리 모바일 상품권(10% 할인율)만 이용해야겠다”고 했다.

상인들 사이에서도 아쉬운 목소리가 나온다. 24일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에서 만난 한 상인은 “서울페이(서울사랑상품권)를 쓰는 고객이 매우 많다”고 말했다. 할인율 축소에는 아쉽다는 반응을 보이면서도 “지역사랑상품권이 많이 풀려서 사람들이 더 시장을 찾아주면 좋겠다”고 했다.

이날 망원시장을 찾은 몇몇 청년들은 닭강정, 과일 등을 사랑페이,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등을 이용해 구매하는 모습이었다. 서울 목동깨비시장의 한 상인은 “현재도 서울사랑상품권을 사용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할인율이 비교적 더 높은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을 쓰는 사람들이 상당수”라고 귀뜸했다.

소상공인연합회 관계자는 “소상공인 현장에선 지역사랑상품권이 매출에 플러스가 되는 부분이 있다고 느끼는 게 사실”이라며 “연 매출 30억원 이상 사용처 제한이 잘 지켜지고,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규모는 확대돼 실질적으로 소상공인에 도움이 될 수 있게 (정부와 지자체에서) 유도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강조했다.

임지혜 기자 jihye@kukinews.com

임지혜 기자
jihye@kukinews.com
임지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