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금연지원 서비스, 보폭 넓혀야 [데스크 창]

국가 금연지원 서비스, 보폭 넓혀야 [데스크 창]

기사승인 2025-04-18 10:20:53
김성일 건강생활부장
곳곳에 자리 잡은 약국을 금연상담소로 적극 활용하고 있는 국가가 있다. 강력한 금연정책을 전개 중인 캐나다의 이야기다. 캐나다 국민은 약국에서 금연 시도 등록을 하고, 상담과 함께 니코틴 보조제를 받는다. 약사가 건네는 보조제는 보험 급여를 적용해 이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했다. 이 같은 약국 금연 프로그램에 참여한 흡연자 중 36%는 6개월 이상 금연을 유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개인의 의지에 의한 금연 성공률이 5%로 낮은 것을 감안하면 효과적 솔루션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일상 속 익숙한 공간에서 편하게 마주하는 금연 지원책이 실효를 거둘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국민 흡연율을 낮추기 위해 약국 등을 새로운 창구로 흡수하는 캐나다의 금연정책은 우리의 국가 금연지원 서비스 이용 빈도가 줄고 있는 상황에서 주목된다. 한국의 서비스는 여전히 병원이나 보건소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젊은 세대는 병원, 보건소에 대해 심리적 거리감을 느끼거나, 금연 시도를 공적 공간과 연결 짓는 것에 부담을 가질 수 있다. 지난 2017년 40만명에 육박하던 국내 병의원 금연 서비스 이용자 수는 지난해 17만명 수준에 그쳤다.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찾는 발걸음도 더뎌지고 있다. 이들 서비스를 뒷받침하는 예산은 기를 펴지 못한다.

여전히 많은 국민이 흡연으로 인한 각종 건강 문제에 직면해 있다. 호흡기 감염병이 세상을 휩쓸면서 금연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하지만 2024년 국민건강통계에서 1개월 안에 금연할 계획이 있다는 성인 흡연자의 응답률은 13.1%였다. 2005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기존 정책만으론 빠르게 확산한 액상 전자담배 등 신종 담배에 대응하기 어려운 구조에서 금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낮아지고 있는 것이다. 흡연 행태가 변화를 거듭하는 가운데 금연지원 서비스는 수년간 제자리걸음이란 지적이 나온다. 

현행 서비스의 효용성을 따져볼 때다. 단순히 캠페인을 반복하거나 상담 데스크를 유지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새로운 접근 방식을 모색하고 접목해 나가야 한다. 약국 등 ‘생활 밀착’ 공간의 활용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지난해 3월 기준 전국 약국의 수는 2만4000곳이다. 보건소(260여곳)의 90배에 달한다. 약사는 흡연자의 금연 의지를 이끌어내고 치료를 이어갈 수 있도록 돕는 조력자가 될 수 있다. 온라인 기반의 맞춤형 금연 서비스를 강화하는 논의도 이뤄져야 한다. 갈수록 다양해지는 담배 제품과 흡연 행태에 따라 금연 상담 및 치료를 다각화해 ‘다가서는 서비스’를 마련해 나갈 필요가 있다.  

김성일 기자
ivemic@kukinews.com
김성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