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5일 (화)
실업급여 수급자 재취업률, 7년 만에 30%대 상승

실업급여 수급자 재취업률, 7년 만에 30%대 상승

기사승인 2024-02-07 14:15:19
지난해 10월 서울 서대문구청 대강당에서 열린 ‘2023 서대문구 취업정보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취업상담을 하고 있다. 사진=박효상 기자
조유정 기자
youjung@kukinews.com

실업급여를 받는 동안 재취업에 성공한 사람의 비율이 7년 만에 30%대를 기록했다.

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실업급여 수급을 마친 사람들 가운데 수습 기간 재취업한 사람의 비율인 재취업률이 30.3%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30%대 재취업률은 2016년(33.1%) 이후 처음이다.
 
재취업률은 2008년에 최고 수준인 38.8%를 기록한 후 30%대를 유지하다 2017년부터 30% 아래로 떨어져, 2019년에는 25.8%까지 낮아졌다. 이후 2020년 26.8%, 2021년 26.9%, 2022년 28.0%로 조금씩 개선돼 왔다. 노동부는 실업급여 수급자들의 적극적인 재취업 활동에 의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수급자의 수급기간 중 재취업 활동 비중을 살펴보면 입사 지원, 면접, 채용 행사 등 자신이 직접 일자리를 찾기 위한 활동이 2022년 42.7%에서 59.1%로 크게 증가했다. 노동부는 적극적인 행정조치도 재취업률 상승에 기여했다며 구직급여 본연의 구직활동 촉진 기능을 정상화하는 첫걸음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성희 노동부 차관은 “올해엔 고용서비스와 연계한 수급자의 재취업 지원 강화에 더욱 힘쓰겠다”며 “실업급여 제도를 근본적으로 개편해 수급자의 노동시장 참여를 촉진하고 제도의 지속가능성을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조유정 기자 youjung@kukinews.com
조유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트럼프 관세’가 게임업계에 불러올 딜레마

국내 게임업계가 딜레마에 놓였다. ‘보장된 시장’ 중국과 ‘기회의 땅’ 미국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때문이다.15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이 게임업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행정부는 중국에 최대 145%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반도체 등 전자제품 상호관세 여부는 불명확하지만, 대(對) 중국 기조가 거세짐에 따라 관세 범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