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보위원회(정보위)가 국정원 현장 국정감사를 종료했다. 오후 현장 국정감사에서는 폭풍군단의 전투력과 북한 파병군의 러시아 쿠르스크 전선이동 가능성 등이 언급됐다.
이성권 국민의힘 정보위 간사는 29일 국정원 기자회견장에서 2차 ‘여야 간사 브리핑’을 통해 “북한의 폭풍군단이 파병을 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폭풍군단 전투력이 어느 정도 되는지 질의가 이뤄졌다”며 “국정원장은 북한 군입대가 18세부터 시작하는 만큼 앳돼 보일 수 있지만, 전투력을 낮게 평가해선 안 된다는 답변을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정원장은 변수가 될 수 있는 점으로 러우전쟁이 현대전 특성을 언급했다”며 “이를 경험하지 못한 북한 파병 군인의 전투력은 미지수인 측면이 있을 수 있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전했다.
정보위 국정감사에서는 북한의 파병 숫자에 대한 추가 질의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간사는 “오늘 1만900명이라는 표현이 나왔고 언론 보도에서는 1만2000명이 나온 경우도 있었다”며 “국정원은 여러 가지 정보를 취합해 현재 1만900명으로 판단한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파병으로 인한 동요로 해당 군인의 가족 격리 이주가 어떻게 되냐는 질문이 있었다”며 “국정원은 지속해서 이주 격리 조치가 있지만, 수치상으로 말하긴 적절치 않다는 반응”이라고 말했다.
이 간사는 국정원 보고를 통해 김영복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부총참모장과 북한군 선발대의 러시아 전선 이동 가능성을 내비쳤다.
그는 “국정원이 김 부총참모장이 KN-23 미사일과 관련해 선발대와 쿠르스크로 이동 중이라는 첩보를 확인 중 이라고 설명했다”며 “이 상황이 북한 파병군의 쿠르스크 이동 임박에 시사하는 점이 있을 것이라는 국정원장의 발언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정보위 간사는 ‘북한의 파병’ 문제를 국정원이 먼저 밝힌 것에 대해 “각국의 수단과 역량으로 첩보와 정보를 수집해서 판단하는 것이다. 대표단이 돌아오면 또 다른 입장 발표가 있지 않겠나 생각한다”며 “한국 국정원은 상황과 정보에 기초해 발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북대서양기구(NATO)·미국과 한국의 국정원이 협력 여부는 문제가 있지만, 대표단이 나토에 가 있어서 주목표가 정보 협력이라고 판단된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박 간사는 ‘국정원의 참관단과 심문단 문제’에 대해 “오후에 추가로 질의한 부분이 없다. 국정원은 참관단과 심문단 등의 표현을 쓰지 않았다”며 “북한의 포로와 이탈자가 발생해 한국으로 오고 싶어 한다면 요청의 수준과 내용을 보고 국정원이 여러 정부기관과 함께 검토해서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국정원은 북한의 ‘한국 무인기 도발’ 주장 의도로 ‘남남갈등’과 ‘북한 내부 결속’ 목적을 지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