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업계가 ESG 경영 전략을 확대하기 위한 논의에 나섰다. ESG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칭으로 기업의 비재무적요소를 말한다. 최근 유럽 등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해 지배구조‧친환경‧윤리경영‧동반성장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ESG 경영 개선의 목소리 높아지고 있다. 특히 ESG 경영이 새로운 투자기조로 자리잡으며 기업의 가치 향상에도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국식품산업협회는 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와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식품산업 ESG 경영 전략을 주제로 14일 서울 서초구 양재aT센터에서 ‘2024 식품산업 ESG 경영 포럼’을 개최했다.
김명철 한국식품산업협회 부회장은 이날 포럼에서 “ESG 평가는 생존의 문제로 인식해야 한다”며 “해외에서 ESG 규제를 강화하는 가운데, ESG 평가기준을 속도감 있게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포럼에는 CJ제일제당과 풀무원이 참석해 ESG경영 사례를 설명했다.
CJ제일제당은 기후변화, 자원순환, 공급망, 인적자원 관리 등에 대한 ESG 경영 사례를 설명했다. 장민아 CJ제일제당 ESG 센터장은 “CJ제일제당은 현재 리스크 저감에 집중하고 있지만, 최종적으로 식물성 제품 확대, 포장지 소재 변경 등 ESG 가치를 확대할 것”이라며 “현재 2050년까지 원재료-생산-소비-폐기 전 과정을 ESG체계로 전환하는 네이처 투 네이처(NATURE TO NATURE) 달성을 자향점으로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풀무원은 ESG의 사회 분야를 강조하며 ‘인권 경영’의 중요성을 발표했다. 오경석 풀무원 지속가능경영실장은 “ESG 분야에서 소셜 부분의 가장 핵심적인 아젠다는 인권 문제”라며 “기업이 인권을 존중하고 인권 침해를 예방하고, 피해가 발생했을 경우 구제에 책임을 다하는 경영방침으로 ‘사람존중’을 중요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는 모든 이해관계자들에게 인권 침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고, 만약 발생한다 해도 정의로운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공정하고 투명한 상담·조사·보고 활동들을 진행하는 것이 목표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이 같은 ESG 대응은 중견·중소 식품업계가 모두 대응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워 국내 식품업계에 맞는 평가 기준이 나와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박경상 삼일회계법인 파트너는 “우리나라 식품산업의 ESG 평가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식품업계에 고유한 평가기준이 적용된 평가기준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에서도 식품산업계의 ESG 규제 대응 필요성을 느끼고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있다.
이주병 한국생산성본부 ESG정책센터장은 “식품산업에서 ESG 관심이 증가하고 ESG 경영을 촉구하는 경향이 심화되고 있지만 참고할 수 있는 콘텐츠는 제한적인 것이 현실”이라며 “글로벌 공시 기준, 이니셔티브, 평가기관에서 다루고 있는 식 품산업 지표 및 주제를 점검하고 전문가·업계 으견을 수렴해 식품산업 ESG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정착에 시간이 걸릴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조만간 새로운 식품업계 맞춤 ESG 가이드라인이 나올 것으로 보이지만, 해외 규제가 빨라지는 만큼 국내 인식 전환 등 정착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까지 중소기업 등의 경우에는 인력, 시간, 인프라 등의 문제로 대응이 어려워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진다 해도 당분간은 대응이 어려울 것”이라며 “오늘처럼 업계가 모여 논의하거나 거버넌스 개념으로 해외 규제에 대응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