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8일 (화)
“뇌종양인 줄 알았는데 기생충 꿈틀”…국내 의료진 제거 성공

“뇌종양인 줄 알았는데 기생충 꿈틀”…국내 의료진 제거 성공

서울대병원·순천향대서울병원, 뇌 스파르가눔증 치료 증례 보고

기사승인 2024-12-30 17:34:54 업데이트 2024-12-31 14:24:00
40대 환자 뇌에서 나온 스파르가눔증 기생충. 서울대학교병원 영상 캡처
박선혜 기자
betough@kukinews.com

오염된 물을 마시고 뇌에 기생충이 발견된 환자의 치료 사례가 보고됐다.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와 순천향대서울병원 신경외과 박혜란 교수 공동 연구팀은 뇌종양으로 오인됐던 뇌 기생충 감염을 규명하고 이를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스파르가눔증 기생충 감염으로 인해 뇌에서 병변이 발생한 40대 환자를 진단·치료해 학계에 보고했다. 스파르가눔증은 유충이 체내에 침투해 혈류를 통해 뇌로 이동하면서 생기는 기생충 감염 질환이다.

주로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익히지 않은 동물의 고기 또는 생선을 먹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감염된 기생충이 뇌로 이동하면 두통과 구토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시간이 지나면 발작, 시야 결손, 감각 이상 등 신경학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연구팀이 주목한 환자는 심한 두통과 구토를 호소하며 서울대병원을 찾았다. 환자는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를 진행했을 때 뇌 왼쪽 뒷부분에서 병변이 보여 뇌종양이 의심됐다. 의료진은 수술을 권유했지만 환자는 증상이 호전되자 치료를 거부하고 퇴원했다.

7개월 후 환자는 다시 극심한 두통과 전신 발작 증세를 갖고 병원을 방문했다. 후속 MRI 검사에서는 병변이 뇌의 좌측 후두엽에서 왼쪽 꼭대기 부근인 좌측 두정엽으로 이동한 것으로 관측돼 단순 뇌종양이 아닌 것으로 보였다. 또 환자는 과거 오염된 연못물을 마시고 날 생선과 익히지 않은 야생 동물 고기를 섭취한 적이 있었다.

의료진은 여러 상황을 종합했을 때 기생충 감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각종 검사를 이어가 스파르가눔증으로 진단했다. 이후 환자의 머리뼈를 여는 개두술을 통해 뇌에서 살아있던 스파르가눔증 유충을 제거했다.

백 교수는 “영상 검사에서 병변이 이동하는 경우 기생충 감염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며 “오염된 물을 피하고 동물의 고기나 생선을 충분히 익혀 먹는 등 개인위생 수칙을 지키는 게 예방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미국 신경학회 저널인 신경학(Neur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박선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멈춘 尹 정부, 길 잃은 주택시장…‘재건축 규제완화’ 올스톱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이 추진하던 부동산 정책이 전면 중단될 위기에 놓였다. 주택 공급의 핵심으로 평가되는 재건축 규제완화 법안 등 여러 법안이 국회에서 표류하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 각종 부동산 규제 완화책이 폐기 위기에 놓였다.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재초환) 폐지와 재개발‧재건축 인허가 절차 단축, 용적률 법적 상한 1.3배가 포함된 ‘재건축·재개발사업 촉진에 관한 특례법'(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