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보건의료·산업 기술, 미국의 80% 수준…2년여 격차

한국 보건의료·산업 기술, 미국의 80% 수준…2년여 격차

복지부·보산진, 2024년 보건의료‧산업 기술 수준 발표

기사승인 2024-12-31 15:08:52
쿠키뉴스 자료사진

우리나라 보건의료·산업 기술 수준이 최고 기술 보유국인 미국 대비 8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수준에 이르려면 2년 정도 걸릴 것으로 분석된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보건의료‧산업 기술수준 평가 결과를 31일 발표했다. 

정부는 한국·중국·일본·유럽·미국의 상대적 보건의료·산업 분야 기술 수준(%)과 격차(년)를 평가해 연구개발(R&D) 사업 기획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올해는 기술 전문가 605명이 두 차례에 걸쳐 저출산 및 국가 감염병 극복 등 질환 분야 44개 기술과, 디지털 헬스 등 산업 분야 38개 기술을 평가했다.

그 결과, 한의약 분야를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미국이 최고 기술 보유국으로 평가됐다. 기술 수준은 유럽, 일본, 한국, 중국 순으로 2022년 조사 결과와 동일했다. 

한국의 기술 수준은 질환 분야에서 미국의 80.3%였고, 양국의 기술 격차는 2.2년이었다. 기술 수준은 지난 조사 때보다 0.2%p 향상됐고 격차는 변동이 없다.

국가별 보건의료·산업 기술 수준 및 기술 격차.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산업 분야에서 한국의 기술 수준은 미국의 79.1%였고 기술 격차는 2.5년이었다. 지난 조사에 비해 기술 수준이 0.2%p 올랐고 기술 격차는 0.3년 단축됐다.

우리나라 질환 분야 평가 결과를 15개 대분류별로 살펴보면 ‘순환계통 질환’에 대한 수준이 최고 보유국 대비 87.2%로 가장 높았고 ‘희귀질환 극복’은 76.5%로 최하위였다.

산업 분야를 8개 대분류별로 살펴보면 ‘한의약 진단치료법 개발’ 수준이 최고 보유국 대비 85.0%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바이오마커 발굴’은 75.5%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한의약 진단치료법 개발’의 최고 기술 보유국은 중국으로, 세부 기술 대분류 중 유일하다.

정은영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상대 평가를 통해 우리나라의 위치를 진단하고 이에 근거로 개별 기술 수준에 맞는 투자 계획을 세우겠다”고 전했다.
박선혜 기자
betough@kukinews.com
박선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