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사위, 서부지법 폭력난입 사태 후속 대책 논의

법사위, 서부지법 폭력난입 사태 후속 대책 논의

기사승인 2025-02-17 11:45:42 업데이트 2025-02-17 16:02:06
경찰 과학수사대가 지난달 19일 서울서부지방법원 폭동 사태 현장을 찾아 증거를 수집하고 있다. 유희태 기자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17일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 폭력난입 사태 피해를 입은 서울서부지방법원에 들러 복구 현황을 살폈다. 이들은 김태업 서울서부지방법원장 등 관계자와 만나 사건진상 규명 및 재발 방지, 피해 지원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잘 아시다시피 서부지법 침탈이 있었고, 법원이 많이 망가지고 판사님과 직원들이 많은 협박에 시달렸다. (법원이) 좀 안정된 것 같아 피해 회복과 트라우마 치료 상황을 살피고 서부지법 지원 방안을 듣기 위해 왔다”며 “서부지법 수석부장 근무 전력이 있어서 마음이 아프다. 피해 회복이 잘 돼 법원이 정상으로 돌아갈 수 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같은 당 박범계 의원은 “서부지법은 66명의 난입 폭도들이 구속된 장소”라며 “다시는 국가기관, 사법부의 침탈 폭동 사태가 일어나선 안 된다. 완벽한 법적, 제도적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균택 의원은 “법원을 침공한 폭도도 문제 있지만, 그보다 더 문제 있는 사람들은 내란을 옹호하고 사법테러 뒤에서 조종한 사이버 정치인 종교인들”이라고 지적했다. 

서영교 의원은 “윤상현 의원이 당시 연행됐던 사람들이 곧 석방될 것이라며 경찰과 얘기했다는 보도와 유튜브 방송들이 법원도 난입해도 되는 게 아니냐는 밑자락을 깔아준 것”이라며 “윤상현, 권영세 등이 책임져야한다. 적당히 넘길 일이 아니라 배후와 사전사후를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19일 새벽 윤 대통령 구속영장 발부 사실이 알려지자 보수 강성 지지자들이 법원 후문을 강제로 열거나 담장을 넘어 경내로 진입했다. 그들은 또 건물 안으로 들어가 집기를 부수고 판사실까지 침입했다. 이들은 특수건조물침입, 특수공용물건손상, 방실수색 등 혐의를 받는다.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서부지검 전담수사팀은 공무집행방해·건조물침입 등의 혐의를 받는 62명을 구속기소하고 1명을 불구속기소했다. 검찰은 추가 구속된 8명에 대한 수사를 진행 중이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
송금종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