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범야권이 내란종식과 민주헌정수호를 모토로 결집했다. 윤 대통령 탄핵과 조기대선이 임박한 만큼 ‘내란 심판’을 정권 교체 구실로 삼으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20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기본소득당, 더불어민주당, 사회민주당, 조국혁신당, 진보당은 전날(19일) 국회 본청에 모여 ‘내란종식 민주헌정수호 새로운 대한민국 원탁회의(원탁회의)’ 공동선언문에 서명했다. 5개 정당은 12·3 비상계엄에 의한 내란사태 진상규명과 가담자 척결, 민생 경제 돌봄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원탁회의는 조국혁신당이 먼저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 탄핵이 머지않은 마당에 범야권이 하나로 뭉쳐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전문가는 “선거 구도를 ‘내란세력 심판’으로 가려는 의지”라고 해석했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19일 “원탁회의는 대선 프레임을 ‘내란세력 심판’으로 만들기 위한 범 진보야당 연대회의라고 볼 수 있다”며 “범 진보가 총망라했고 조기 대선이 열리면 내란세력 심판으로 선거 구도를 몰겠다는 의지를 공개적으로 밝힌 것”이라고 분석했다.
원탁회의는 내달 1일 공동 집회를 연다. 각 당 대표도 참석하며, 주요 메시지는 ‘윤 대통령 탄핵 촉구’와 ‘내란 심판’으로 예상된다. 같은 날 보수 강성 세력도 대규모 집회를 예고한 상황이다.
엄 소장은 “공동 집회 때 보수 측도 100만명을 모으겠다고 하니까 보수와 진보가 총동원령을 내려서 최후 전쟁을 치르는 날”이라며 “내란 심판을 세게 얘기하고 윤 대통령 파면촉구 메시지도 나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엄 소장은 다만 “‘내란 심판’은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헌법재판소가 탄핵 심판을 인용하면 심판이 되는 건데, 심판 받은 세력을 또 심판한다고 하면 설득력이 떨어지지 않느냐”며 “이럴 때일수록 톤다운 하는 게 낫다고 본다. 어떤 메시지를 낼 진 지켜봐야 알겠지만 많이 모아서 ‘으쌰으쌰’ 한다고 긍정적 효과를 보는 것만은 아니다”고 조언했다.
선거에 관해서는 일절 함구할 것이라고 전문가는 진단했다. 원탁회의는 앞서 브리핑에서도 선거에 관한 어떠한 얘기도 합의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박상병 인하대 정책대학원 교수는 “지금 선거를 얘기하면 너무 성급하다”며 “마치 다 된 것처럼 얘기하면 경솔하고 무책임하게 비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그림은 선거 이후까지 그리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후보 단일화에 실패해 정권을 빼앗긴 사례를 반복하지 않기 위한 당 통합 가능성도 제시됐다.
박 교수는 “국민의힘이 헌법재판소를 흔들며 극우화하는 조짐에 국민이 불안해하는데, 야당이 뭉쳐서 대항하는 모습은 불안요소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야당 신뢰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윤 대통령) 탄핵 이후에 야권이 정권 교체와 관련해 힘을 모을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