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7일 (월)
비명계, ‘완전국민경선제’ 제안…민주 “조기 대선 시간 부족”

비명계, ‘완전국민경선제’ 제안…민주 “조기 대선 시간 부족”

양기대 “이재명 지지율 30% 박스권…완전국민경선 도입해야”
한민수 “조기 대선 경선 한 달…현재 제도로 진행해야”

기사승인 2025-03-03 19:53:43
양기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쿠키뉴스 자료사진
임현범 기자
limhb90@kukinews.com

비명계에서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제안했다. 이에 현 지도부는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위한 시간이 부족하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비명계 모임 ‘초일회’ 간사를 맡은 양기대 전 의원은 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누구나 수긍할 수 있는 공정한 경선 규칙이 마련돼야 한다”며 “비명계 대선주자들은 이재명 대표를 위한 들러리 경선이 안 된다는 입장이다. 화합을 위한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양 전 의원은 민주당의 ‘국민참여경선제’ 고민을 지적했다. 그는 “김윤덕 사무총장은 당의 재선의원과 만난 자리에서 당원 50%·국민 50% 방식의 국민참여경선제를 언급했다”며 “완전국민경선제에 대해선 시간이 촉박해 도입은 어렵다는 입장”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12·3 비상계엄 사태와 대통령 탄핵이라는 유리한 국면에도 이 대표의 지지율은 30%대 박스권에 갇혀 있다”며 “정권교체가 어렵지 않겠냐는 의구심도 커지는 중”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국민이 선택한 후보가 본선에 나가면 정치 불신을 해결할 수 있다”며 “경선에 참여한 후보와 캠프는 화합과 통합의 선거대책위원회에 참여해 선거를 도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양 전 의원이 주장한 완전국민경선제는 지난 2017년 도입된 바 있다. 민주당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인용 후 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해 문재인 전 대통령을 후보로 선출한 바 있다.

반면 민주당은 ‘조기 대선’의 특성상 제도 도입이 어렵지 않겠냐는 입장이다. 한민수 대변인은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조기 대선이 치러지면 자체 경선은 한 달이 되지 않는다”며 “현재 제도로 서둘러 진행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임현범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강하늘·유해진·박해준 다 모였다…정치물 아닌 액션물 ‘야당’

제목만 보고 소재를 오해하기 쉽지만, 라인업만큼은 화려한 범죄액션물 ‘야당’이 베일을 벗었다. 7일 서울 삼성동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영화 ‘야당’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현장에는 배우 강하늘, 유해진, 박해준, 류경수, 채원빈, 황병국 감독이 참석했다. ‘야당’은 대한민국 마약판을 설계하는 브로커 ‘야당’, 더 높은 곳에 오르려는 ‘검사’, 마약 범죄 소탕에 모든 것을 건 ‘형사’가 서로 다른 목적을 가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