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운하 조국혁신당 원내대표는 앞서 제안한 ‘원샷’이 어려우면 ‘투샷’ 방식을 써서라도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실현시키자고 주장했다.
황 원내대표는 6일 오전 최고위원 모두발언으로 “오히려 여권 후보선출 과정보다 훨씬 더 흥행이 될 수 있도록 오픈 프라이머리 빅이벤트를 위해서는 당이 제안했던 ‘원샷’에서 더 나아가 ‘투샷’ 방식까지 적극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투샷’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오픈 프라이머리에 응하지 않을 경우를 고려한 차선책이다.
황 원내대표는 앞서 언론 인터뷰에서 “더불어민주당을 제외한 ‘원샷’ 오픈 프라이머리를 진행하고, 그런 다음에 민주당과의 ‘투샷’을 진행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조국혁신당은 지난 4일 ‘원샷’(각 정당 모든 대선 후보가 제한 없이 참여) 방식의 야권 오픈프라이머리를 제안했다. 현재 민주당 등 다른 정당에선 참여의사를 밝히지 않고 있다.
황 원내대표는 “오픈 프라이머리로 선출된 후보는 다수파연합 단일후보로서 강력한 경쟁력을 갖는다. 여기에 역동적인 오픈 프라이머리가 전개되면 범야권 외연이 확장되고, 또 연대가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대표를 포함해서 어느 후보에게도 불리한 제도가 절대 아니다”며 “어느 후보도 수용하지 못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고 참여를 호소했다.
당은 그러나 ‘투샷’에 관해선 선을 그었다. 우선 순위는 ‘원샷’이라는 것. 김보협 수석대변인은 최고위원 회의 후 취재진과 만나 “현재 결정된 건 없다”며 “당 제안 방식인 ‘원샷’ 오픈 프라이머리가 워낙 혁신적이어서 검토를 하는데 문제는 없는지 등에 대해서 고심의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고 답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또 “‘투샷’은 황 원내대표 개인 견해”라며 “민주당에 참여를 제안했고 공식 답변을 기다리는데 이 상황에서 ‘투샷’을 당 입장으로 얘기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