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 10명 중 7명은 가계 형편이 지난해보다 나빠졌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원인으로 물가 상승이 꼽혔다.
한국경제인협회가 20일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71.5%는 가계경제가 1년 전보다 악화했다고 답했다. 개선됐다는 응답은 28.5%였다.
현재의 가계경제가 얼마나 개선 또는 악화됐는지 묻는 질문에는 20~30% 악화가 26.4%로 가장 높았고 0∼10% 악화(23.2%), 10∼20% 악화(21.5%), 0∼10% 개선(18.5%) 순이다.

구간별 중간값을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 가계 경제 상황이 평균 7.7%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어려움이 가장 큰 분야는 물가 상승이 71.9%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실질 소득 감소(11.9%), 일자리 부족 및 불안정(9.5%), 부채 증가(2.7%) 등이 뒤를 이었다.
최근 1년간 물가가 가장 크게 올랐다고 느낀 부문은 식료품·외식비(72.0%)가 가장 많이 꼽혔고 에너지 비용(11.0%), 주거비(4.5%), 공공요금(3.4%) 등 순이다. 일자리와 사업 안전성에 대해 불안정하다는 응답이 43.1% 달했고 안정적이라 생각하는 응답은 26.5%로 차이가 있다. 보통은 30.4%였다.
게다가 내년도 가계경제 전망에 대해 악화할 것이란 답이 64.2%, 개선될 것으로 보는 응답자 비율은 35.8%다.
소득 전망도 부정적이다. 1년 후 소득전망을 묻는 질문에 감소가 52.1%, 증가가 47.9%였으며 지출 전망은 증가가 54.2%, 감소는 45.8%다. 현재 가장 필요한 물가 정책은 생필품 가격 안정화(58.4%)가 과반을 넘겼고, 에너지 가격 안정(13.9%), 취약계층 선별 지원(9.7%), 소비 관련 세금 감면(7.9%)등이 뒤를 이었다.
일자리 정책 분야는 취약계층 맞춤형 일자리 지원(24.6%), 미래 유망산업 인력 양성 및 일자리 창출 지원(17.3%), 재취업·직무 전환 지원 강화(16.8%), 노동시장 유연성·공정성 확보(14.0%) 등의 순이다. 가계부채 정책은 가계부채 증가 요인 해소 정책 강화(41.1%)를 가장 많이 요구했고 부동산 시장 안정화(31.6%), 취약계층 부채상환 지원(13.0%)이 뒤를 이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장기간 경기침체와 고물가로 국민들의 가계 형편이 매우 어려워지고 있다”며 “민생경제 안정을 위해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과 투자‧고용 확대를 유도해야한다며 특히 먹거리 물가안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1∼27일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온라인 패널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9%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