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완진됨에 따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대규모 피해 복구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중대본은 3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울산·경북·경남 산불대응 중대본 10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한경 산불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차장(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날 중대본 회의에서 “이재민 일상 회복에 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두고 행정·재정적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회의에는 관련 부처와 산불 피해 기초자치단체가 참여해 피해 복구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70개 기관 107명 규모의 합동 지원 조직인 중앙합동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이재민 구호활동과 피해 수습 복구에 나선다.
대피기간 장기화에 따라 노약자 등 이재민에게는 의약품을 지급하고 24시간 건강 모니터링 등 의료, 심리 치료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 차장은 “정부는 이분들을 임시주거시설로 옮기고 조립식 주택 등 편안한 주거 공간도 조기 확보하겠다”며 “지속 가능하고 종합적인 임시주거시설 공급계획을 마련해 이재민의 조속한 일상 회복을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산불 피해를 본 중소기업이나 소상공인을 위한 융자·보증과 경영 자금 지원도 이어간다. 농업인에게는 농기계 무상 지원도 실시할 예정이다.
의성·안동·산청·하동 등 피해 지자체의 애로사항을 신속히 처리하기 위해 현장지원반과 지자체의 활동을 강화한다. 가가호호 대상으로 전기·수도·통신 등 필수 기반시설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한전 등 관계 기관과 지자체가 합동으로 신속히 해결한다는 방침이다.
이 차장은 “생사를 넘나드는 재난 현장에서 밤낮없이 수고하신 관계자 여러분께 경의를 표한다”면서 “이재민의 일상회복에 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두고 범정부적 지원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또 “아무리 작은 불티도 대형산불로 번질 수 있다는 것을 이번 산불로 모든 국민이 알게 된 만큼, 산에서 성묘나 벌초할 때 산불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드린다”고 주문했다.
정부는 입산객이 많아지는 4월에도 건조한 날씨가 예상되는 만큼 기동단속 등 산불 예방을 위한 노력을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번 대형산불로 인해 75명의 인명피해와 주택 3400여채, 농·축산시설 2100여곳, 국가 유산 30건이 피해를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