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알루미늄 수출 중소기업의 43%…美 관세에 매출 영향

철강·알루미늄 수출 중소기업의 43%…美 관세에 매출 영향

기사승인 2025-03-31 19:46:56
수출 컨테이너 등이 쌓여있는 부산항 감만·신감만 부두. 연합뉴스

철강·알루미늄을 수출하는 우리 중소기업의 43%가 미국의 관세부과로 수출 또는 매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16∼26일 철강·알루미늄 및 파생상품 수출기업 600개를 대상으로 긴급 설문조사를 한 결과, 42.8%가 ‘미국의 관세부과로 수출이나 매출이 영향을 받았다’고 답했다고 31일 밝혔다. 미국은 지난 12일부터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응답 기업들이 겪고 있거나 앞으로 예상하는 애로사항(복수응답)으로는 ‘미국 관세정책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어렵다’가 41.8%로 가장 많았고, ‘관세 리스크(위험)로 인한 물류비용 상승’(38.2%), ‘수출국 다변화 비용 발생’(36.5%) 등이 뒤를 이었다.

관세 대상 여부 확인이 어렵다는 점과 미국 거래처의 수출계약 지연·취소, 미국 수출 중인 국내 거래처 대상 발주 물량 감소, 제3국에서의 수출 경쟁력 악화 등도 애로사항으로 꼽혔다.

응답 기업 중 관세 부과 대응을 준비하는 기업은 32.5%에 불과했다. 준비 중인 내용으로는 생산비용 등 자체 비용 절감 노력과 미국 거래처와 관세 부담 논의, 유관기관 설명회 참여 등 정보탐색 등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관세 부과 대응을 위해 필요한 정부 지원책으로는 ‘관세 관련 정보제공’이 51.3%로 가장 많았고, ‘물류비 지원 강화’(46.7%), ‘정책자금 지원’(40.5%), ‘법무·회계법인 등 관세 컨설팅’(24.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철강이나 알루미늄 관련 파생상품을 수출 중이라고 응답한 기업 중 43.4%는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정부 지원 사항으로는 ‘미국 HS 코드 확인을 위한 전문 컨설팅’이 42.4%로 가장 많았고, ‘철강·알루미늄 함량 계산 컨설팅’(41.4%), ‘통관 절차 등에서의 서류 대행’(33.5%), ‘원산지 규정 강화를 위한 교육’(25.6%) 등이 꼽혔다.

중기부는 수출 중소기업이 당면한 애로를 신속하게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15개 지역별 애로신고센터를 통해 수출전문관이 일차적인 상담·안내를 진행하고, 자금이 필요한 기업에 대해서는 정책 우선도 평가 면제 조치와 패스트트랙 절차 등을 통해 신속하게 자금을 지원한다. 비즈니스지원단의 관세 전문인력을 통한 심층상담과 현장클리닉도 연계한다.

아울러 중기부는 미국 관세 관련 최신 동향과 지원정책을 소개하고 현장 애로 상담회와 병행하는 ‘미 관세부과 대응 중소기업 지원 설명 및 현장 상담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온라인으로도 관세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출지원센터 누리집에 카드뉴스, 리플릿, 지원정책 공고 등을 게재한다.

노용석 중기부 중소기업정책실장은 “미국의 관세부과 조치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중기부 내 긴급대응반을 운영하고 있다”며 “수출 중소기업 상황에 맞는 맞춤형 지원을 이어 나가고 관세로 인한 애로와 불확실성을 해소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재민 기자
jaemin@kukinews.com
김재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