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확대 재지정된 강남구와 서초구, 용산구는 아파트 매매 가격 상승폭이 감소했다.
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3월 다섯째주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전주보다 0.11% 올랐다.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 상승률은 전주와 같은 수준이다. 정부와 서울시가 토허제를 확대 재지정하면서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의 상승세가 진정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측된다. 지난 2월 토허제가 해제되자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가파르게 상승한 바 있다.
강남구 아파트 매매 가격은 전주에 0.36% 상승했지만, 이번 조사에서 0.21% 올랐다. 전주 0.28% 올랐던 서초구는 0.16% 상승했다. 상승세가 둔화된 것.
토허제 재지정에 따른 풍선효과 우려와 달리 마포구(0.21%→0.18%), 양천구(0.29%→0.20%), 성동구(0.35%→0.30%), 광진구(0.15%→0.13%) 등 주변 지역도 상승폭이 줄었다.
다만 전주 0.03% 감소했던 송파구는 0.28% 상승했다. 용산구는 상승폭이 전주 0.18%에서 0.2%로 소폭 올랐다.
영등포(0.10%→0.16%), 관악구(0.02%→0.06%)도 소폭 상승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거래 자체는 많지 않으나 재건축 추진 단지 등에 대한 수요는 있다”며 “원래 지수는 오르내림을 반복하면서 전체적인 방향성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어 장기적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경기는 보합(0.00%)을 나타내 4주 연속 같은 수치를 기록했다. 전주에 0.07% 감소했던 인천은 감소폭이 0.03%로 줄었다.
전주에 0.04% 감소했던 지방 아파트 매매 가격은 이번 조사에서도 0.05% 줄었다.
한편, 전국 아파트 매매 가격은 0.01%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