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금융그룹들이 국내외 시장 변동성 관리를 위해 긴급회의를 개최하는 등 대응 체계를 갖추고 있다. 금융당국도 탄핵 결과를 예의주시하며 물밑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그룹은 그룹 위기관리위원회 소집을 통지했다. 국내외 정세에 따른 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이에 이날 오후 4시 CEO 주재 회의 및 개별 그룹사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해외 투자자들의 문의에 대해서는 그룹 유관부서 간 긴밀히 소통하며 입체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국내외 정책 영향에 따른 환율 변동성이 우려되는 상황으로 외환 및 자금 시장 등 유동성 리스크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KB금융그룹은 이날 오후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 주재로 지주 임원 긴급회의를 개최한다. 금융시장 상황 변동에 대비하기 위해 지주 임원 및 전 계열사 전략 담당 임원이 포함된 비상대응체계를 가동 중이다. 주말에도 비상 대응반을 운영하고 있다. KB금융 관계자는 “자금시장 동향 및 환율 변동 추이 등 시장 동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적시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나금융그룹은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에 중점을 두고 있다. 미국 상호관세 조치로 어려운 상황에 놓인 중소기업·소상공인 긴급 유동성 지원을 위해 총 6조원의 자금을 공급할 계획이다. 특히 관세 피해로 인해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기업에 대해서는 △원금상환 없이 기한연장 △분할상환 유예 △금리감면 △신규자금 지원 등 다양한 금융혜택도 병행한다.
우리금융그룹과 NH금융그룹은 변동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 우리금융은 비상대책조직과 유관부서 간 협의를 통해 환율 수준별 관리 방안을 수립해 대응하고 있다. NH금융은 비상 상황 발생 시 빠른 대처를 위해 업무 연속성 계획(BCP)를 수립했다. NH금융 관계자는 “주말까지 지주 자회사들과 비상 연락망 체계를 계속 유지하며 상황을 모니터링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탄핵 결과 등에 따른 신속한 대응을 위해 F4회의 개최를 검토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정례 간부회의는 서면으로 대체됐다”면서도 “F4회의는 추후 상황을 보고 개최할 것 같다”고 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도 “F4회의 개최를 조율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