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면되고도 계속 영향력을 과시해온 윤석열 전 대통령이 탈당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국민의힘 내에서 나왔다.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은 11일 오전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윤 전 대통령이 국민의힘 경선과정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할 거라고 보느냐’는 물음에 “개입할 수 있는데, 그게 도움이 되겠냐”고 반문했다.
김 의원은 “윤 전 대통령이 이후 스케줄을 가장 아름답게 만드는 건 정권 재창출인데, 윤 전 대통령이 윤심을 호소하고, 후보들이 윤심(만 잡으려고) 경쟁하면 결국 이재명의 선대위원장이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윤 전 대통령 스스로도 이후의 삶을 평안하게 보내려면 정권 재창출이 필요하고, 그러려면 어떻게 하면 윤심과 거리를 두고 국민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윤 전 대통령이 배후정치, 막후정치를 하는 건 진영 전체에 도움이 안 된다”고 언급했다.
‘윤 전 대통령이 스스로 탈당해야 하느냐’는 물음엔 “극단적으론 그것도 방법”이라면서도 “첫 번째 스텝은 자중자애(自重自愛·스스로를 소중히 여기고 아끼며, 말과 행동을 신중하게 하는 것)”라고 답했다.
이어 “전한길 씨를 관저에 초청했는데 부적절했다. 파면된 상태에서 좋아보이지 않는다”고 평했다. 그는 또 “(그럼에도 개입 메시지를 내면) 저도 같이 메시지를 내는 것”이라며 “극단적인 경우엔 (출당 메시지를) 낼 수 있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또 윤 전 대통령을 ‘원망한다’고도 전했다. 그는 윤 전 대통령 국회 탄핵소추 표결에 불참(반대)했다가 나중에 찬성으로 돌아선 바 있다.
김 의원은 ‘파면 이후 윤 전 대통령이 국힘에겐 어떤 존재냐’는 물음엔 “복합적인 감정이 든다. 아름다운 이별은 아니지 않느냐”며 “원망스러운 점도 있다”고 운을 뗐다.
그는 “계엄 이후 첫 표결 전 대통령의 하야 약속을 믿었고, 지탄을 받더라도 지금처럼 국론이 분열되지 않으려면 대통령이 하야하기 전까진 시간을 줘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회상했다.
이어 “그래서 첫 표결에 참여를 안 한건데 (윤 전 대통령이) 며칠 뒤 입장을 번복했다. 소위 질서 있는 퇴진에서, 질서도 퇴진도 없게 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또 “개인적으로 공정과 상식을 기치로 들고와서 문재인 전 정부에 대한 강한 심판을 해줄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기대가 컸지만 마지막엔 실망도, 원망도 크다”며 “오늘 관저에서 나온다는데, 당원과 국민이 입은 상처가 깊다. 국민을 위해 사과나 반성, 가슴을 달랠 얘기를 하면 좋겠다”고 전했다.
한편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오후 5시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를 퇴거해 사저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로 거처를 옮긴다.